국제 국제일반

전황 급변에 美 '백악관 방어' 나삼스 우크라 배치…러는 "개입 말라"

우크라전쟁, 포격전서 미사일전으로 확전

WP “전략 시험 다충적 충돌로 급격 전환”

마크롱도 “전쟁의 본질 바꾼 터닝포인트"

바이든 "첨단 방공시스템 등 지원" 약속

이스라엘선, 아이언 돔 지원 목소리 높아져

러는 "서방 개입 확대 시 적절한 대응" 경고

G7 정상, 긴급 회의…우크라 지원책 논의

10일(현지 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 있는 러시아 대사관 앞에서 러시아의 민간 시설 타격을 규탄하는 시위대들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판하는 팻말을 들어보이고 있다. EPA연합뉴스10일(현지 시간) 폴란드 바르샤바에 있는 러시아 대사관 앞에서 러시아의 민간 시설 타격을 규탄하는 시위대들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판하는 팻말을 들어보이고 있다. EPA연합뉴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키이우의 민간인 시설에 미사일 공격을 가하면서 전쟁이 전방위로 격화하는 새 국면에 진입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의 ‘상징’인 크림대교 폭발 사건 이후 러시아가 무방비 상태인 민간인을 공격하면서 보복이 또 다른 보복을 낳는 악순환이 시작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서방은 첨단 방공 시스템 지원을 예고해 포격전 중심인 우크라이나 전쟁이 미사일전으로 격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11일(현지 시간) 외신에 따르면 전날 러시아의 포격으로 인한 사망자는 19명, 부상자는 105명으로 늘어났다. 10일 워싱턴포스트(WP)는 “우크라이나 전쟁이 정적인 포병 전투에서 미국·우크라이나·러시아의 전략을 시험하는 다층적 충돌로 급격히 전환됐다”고 평가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역시 “러시아의 공습은 전쟁의 본질에 엄청난 변화(터닝포인트)”라고 지적했다.



당장 이번 공격을 두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서로 칼을 갈고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전쟁에서 러시아 군대를 더 고통스럽게 만들어줄 것”이라며 설욕을 다짐했다. 반면 빅토르 본다레프 러시아 상원 외교위원장은 “이번 공격은 새로운 국면의 시작을 의미한다”며 “더 단호하게 행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특히 서방의 지원 확대로 전황이 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첨단 방공 시스템이 지원될 것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첨단 방공 시스템을 포함해 우크라이나를 방어하는 데 필요한 지원을 지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백악관이 이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정부가 초여름 지원을 약속한 대공미사일 나삼스(NASAMS) 2개를 곧 우크라이나로 보낼 것이라고 WP가 국방부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지난달 추가 지원하기로 했던 나삼스 6개도 예정보다 빨리 전장에 투입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나삼스는 2005년부터 미국이 백악관과 펜타곤 등을 방어하기 위해 사용해온 무기다. 미 의회에서도 지원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로버트 메넨데스 상원 외교위원장은 “러시아의 공격에 경악했다”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데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독일 역시 4개월 전에 지원을 약속했지만 계속 미뤄온 단거리 공대공미사일 ‘IRIS T SLM’을 수일 내 공급할 계획이다. 이스라엘 정치권에서도 방공 시스템 ‘아이언돔’ 등을 우크라이나에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러시아는 서방의 지원에 경고장을 날렸다. 세르게이 럅코프 러시아 외교 차관은 11일 “미국과 서방은 걷잡을 수 없는 긴장 고조에 따른 위험을 깨닫기를 경고한다”며 “서방의 개입 확대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국제사회에서는 러시아에 대한 비난 여론이 고조되고 있다. 러시아의 우방인 중국 외교부는 이날 “모든 국가의 주권과 영토의 온전성이 존중돼야 한다”며 “위기를 평화적으로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모든 노력이 지지돼야 한다”고 밝혔다. 인도 역시 “민간인 사망 등으로 분쟁이 악화하는 데 대해 깊이 우려한다”고 발표했다.

이런 가운데 주요 7개국(G7) 정상과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긴급 화상회의를 열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대공 방어 체계와 미사일 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 유엔 회원국들도 10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긴급 특별총회에서 우크라이나 영토에 대한 러시아의 불법적 병합 시도를 규탄하는 결의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유럽연합(EU) 주도로 마련된 이번 결의안은 12일 표결에 부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