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2022 국정감사] 서울 지하철 10분 이상 지연 증가…올해 월 평균 2.4건

서울교통공사 지하철 지연 운행 집계

정우택 의원 "철저히 점검, 매뉴얼 필요"

10월 6일 오전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에서 승객들이 지하철에서 내려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10월 6일 오전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에서 승객들이 지하철에서 내려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지하철 1∼8호선에서 차량 및 신호 고장 등으로 10분 이상 운행이 지연된 사례가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이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지하철 지연운행 자료에 따르면 2018년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차량 고장이나 신호 설비 장애 등으로 운행이 10분 이상 지연된 사례는 총 62건으로 집계됐다. 여기에는 코레일 운영 구간(1·3·4호선 일부)에서 발생한 15건도 포함됐다.

연도별로 보면 2018년과 2019년에는 나란히 3건을 기록했으나 2020년 9건으로 늘었고 2021년에는 25건으로 거의 3배로 급증했다. 올해는 이미 22건으로 월평균 2.4건에 달했다.



지연 사유는 차량 고장이 39건(62.9%)으로 최다였고 기타사고 13건, 신호 장애 10건 등이었다.

관련기사



2호선(16건), 4호선(12건), 1호선(10건) 순으로 지연 운행이 많았다.

지연 시간은 대부분 10분∼20분 정도였으나 1시간 넘게 지연된 사례도 있었다. 올해 7월 1일 5호선 하남풍산역에서는 전동차 고장으로 93분간 차량 운행이 중단됐다. 또 5월 24일 3호선 매봉역에서는 선로 근처에서 불꽃(스파크)이 일어 퇴근길 열차가 62분간 멈췄다.

차량 고장이 빈번한 것은 노후화와 신형 전동차의 초기 장애 증가 때문으로 공사 측은 파악했다.

신호장애는 주로 2호선에서 발생했는데 2006년에 준공된 신호시스템이 노후한 데다 두 가지 시스템을 함께 운영하면서 장애가 잦았던 것으로 분석했다.

공사는 "차량과 장비 교체 시기가 다가와 재투자가 필요한 시기"라며 "신조 차량 운행이 안정화되고, 신호 설비가 개량되면 장애가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우택 의원은 "지하철 지연운행 방지를 위해 열차와 신호 장비 등을 철저히 점검하는 한편 불시의 사고에 대비한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고 짚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