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과학벨트, 디지털 지점 운영…비대면 서비스 확대

메타버스 상담장, 챗봇 등 상시 수요기술 발굴 및 상담 체계 구축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에 자리잡고 있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사진제공=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대전시 유성구 도룡동에 자리잡고 있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사진제공=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국제과학비즈 니스벨트의 기술사업화 비대면 서비스 확대 및 상시 민원 대응을 위해 ‘과학벨트 디지털 지점’을 리뉴얼해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과학벨트 디지털 지점’에서는 △산업군별 수요기술 접수 △판매기술에 대한 기술요약서 제공 △상담신청(특허전략, 비즈니스 모델 수립 등) △기술사업화 컨설팅(메타버스 상담장 활용) 등이 가능하며 챗봇을 통해 질의응답 및 민원접수, 상담원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관련기사



리뉴얼 전 과학벨트 디지털 지점은 과학벨트 판매기술 소개, 상담 신청 안내 등 정보제공 위주였던 반면 메타버스 및 챗봇 기능을 적용하여 쌍뱡향 소통이 가능한 ’과학벨트 디지털 지점‘으로 재구성됐다.

종합 컨설팅 기능을 추가한 과학벨트 디지털 지점은 리뉴얼 이전보다 월 평균 방문자가 증가하는 등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판매기술에 대한 기술요약서를 찾기 위해 방문하는 기업 관계자가 월 평균 50회 미만에서 현재 200회 수준으로 늘어났다.

특구재단 강병삼 이사장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도래 하며, 비대면 서비스 등 기술사업화 패러다임도 급변하고 있다”며 “과학벨트 디지털 지점 구축을 시작으로 현장의 애로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신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중소기업이 처한 사각지대를 면밀히 살피는 특구재단이 되겠다”고 밝혔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