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문수 "문 대통령, 신영복 선생 존경하면 김일성주의자"

국감서 의원 질의에 "신영복, 문제 많다"며 발언

윤건영 의원에 대한 과거 종북 발언도 내내 논란

사과했지만…민주당 "진정성 없는 사과” 재비판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이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1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장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이 신영복 사상가를 존경하면 확실히 김일성주의자"라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은 김 위원장을 향해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종북에 비유한 발언에 이어 다시 막말을 했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후 8시30분쯤 국감에서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문재인, 586(세대) 주사파, 운동권은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종북 김일성 주의자라는 글을 쓴 적이 있다”며 “문재인 (전) 대통령이 종북 주사파인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 글은 김 위원장이 2021년 4월 9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쓴 글이다. 김 위원장은 “문재인 (전) 대통령은 신영복 선생을 가장 존경하는 사상가로 생각한다면 문제가 많다”며 “문 (전) 대통령이 신영복 사상가를 존경하면 김일성주의자”라고 부연했다. 김 위원장은 2018년 서울시장 후보자 시절도 문 전 대통령에 대해 김일성 사상을 존경하는 분이라고 비슷한 맥락으로 평가한 바 있다. 고 사상가인 신영복 선생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선고 받아 20년 복역했다.



전 의원이 김 위원장에게 ‘발언을 정정할 기회를 주겠다’고 하자, 김 위원장은 “신영복 선생은 대학교 선배”라고 발언을 정정하지 않았다. 의사진행 발언을 신청한 민주당 의원들은 김 위원장에 대해 비판을 쏟아냈다. 사상 존경을 이유로 주의자로 단정할 수 있냐는 지적이다. 우원식 의원은 김 위원장에 대해 “이 자리에 있을 자격이 없다”고 지적했다. 국감은 다시 중지됐다.

관련기사



이날 국감은 김 의원장의 발언으로 오전부터 파행을 거듭했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김 위원장에게 “(김 위원장은 내가) 종북이고 (북한) 수령님께 충성한다고 발언을 했었는데 (현재도) 생각이 변함없나”라고 물었다. 김 위원장은 과거 자신이 SNS에 윤 의원을 평가한 내용이 담긴 화면을 본 뒤 “저런 측면이 있다”고 답했다. 2021년 4월17일 김 위원장이 쓴 글에는 윤 의원에 대해 ‘종북본성을 드러내고 있다’ ‘반미·반일 민족의 수령님께 충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민주당 의원들의 김 위원장에 대한 비판과 사과 요구가 쏟아졌고 여야의 고성도 오고갔다. 윤 의원은 “인격적 모독에 대한 사과없이 국감 질의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김영진 의원 등 같은 당 의원들은 김 위원장을 국회에서의 증언 및 감정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고발해야 한다고 의사진행 발언을 이어갔다.

이날 오후 2시40분께 감사는 재개됐다. 여야는 김 위원장이 사과를 하면 고발하지 않겠다고 합의를 하고 국감장에 돌아왔다. 김 위원장은 “윤 의원이 모욕감을 느낄 수 있다"며 “경사노위원장으로 신중하고 사려깊게 사과한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미국 의회에서 대북전단금지법 청문회가 있었고 그 상황에 맞춰 쓴 글”이라고 부연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의 사과가 진정성이 없다는 민주당 의원들의 질타가 한동안 이어졌다.

이처럼 이날 국감은 시작부터 야당의 김 위원장의 과거 발언에 대한 비판이 거셌다. 야당은 노란봉투법으로 불리는 노조법 개정안에 대한 반대를 비롯해 노동 현안에 대해 반노동, 극우로 읽힐 수 있는 발언들을 문제 삼았다. 사회적 대화를 이끄는 경사노위 위원장으로서 중립을 지킬 수 있는지 자격 문제를 제기한 것이다. 반면 여당은 김 위원장의 노동운동가 경험에 비춰 경사노위를 이끌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김 위원장은 “의원들이 우려하는 부분을 잘 듣고 공정한 (자세로) 위원장에 임하겠다”고 여러 차례 고개를 숙였다.

한편 김 위원장은 4일 취임했다. 경사노위는 대통령 직속 기구로 위원장은 장관급이다. 위원장은 청문회 없이 대통령이 임명하면 취임 후 업무를 시작할 수 있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