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금조달 막힌 캐피털사, 부동산 PF發 부실 덮쳤다

일부 올해만 비중 6.6%P 급증

금리인상에 돈 구하기도 난항





캐피털사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도 어려운 캐피탈사들에 부동산 PF 부실은 카운터펀치가 될 수 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S캐피털사의 자산 가운데 부동산 PF 비중은 2020년 말 13.94%에서 2021년 말 16.7%, 2022년 6월 말 22.7%, 2022년 8월 말 23.28%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부동산 PF에 경고등이 켜졌음에도 올 들어서만 비중은 6.58%포인트나 늘었다. 회사 관계자는 “자산 규모가 커지면서 함께 증가한 경향도 있다”며 “이후 부동산 PF 신규 취급은 적극적으로 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K캐피털사의 경우도 2020년 2분기 부동산 PF 비중이 1.66%였지만 2022년 2분기에는 10.2%로 6배 이상 뛰어올랐다.

관련기사



그동안 캐피털사는 자동차 할부·리스 등 자동차 금융을 주로 취급했지만 경쟁이 치열해지자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부동산 PF 등 기업금융·투자금융 비중을 확대해왔다. 이후 부동산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면서 캐피털사에 수익을 안기던 부동산 PF가 오히려 부실의 ‘부메랑’이 됐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몇몇 중소형 캐피털사의 경우 부동산 PF 비중이 월등히 높은 상황”이라며 “존폐 위기를 겪는 캐피털사들도 등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나이스신용평가는 캐피털사들의 부동산 금융 대출을 우려하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하고 부동산 금융 중 내년 6월까지 만기 도래분이 40%를 넘는다고 경고했다. 나신평은 “지금처럼 빠르게 부동산 경기가 냉각되고 미분양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만기 도래 자금의 상환이 제대로 이뤄지는지 살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이은 금리 인상으로 캐피털사들의 자금 조달 문제도 심각하다.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캐피털사들은 만기 연장 시 법정 최고금리 수준의 금리를 제시하거나 최고경영자(CEO)의 연대보증 등 조건을 까다롭게 하며 문턱을 높이고 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