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中은 국가 리더십, UAE는 SNS…"부산 엑스포도 차별화 전략 쓰면 승산"

■전경련, 최근 엑스포 유치 성공사례 분석

伊는 '인류 공통 과제', 日은 '민관협력'으로 성공

이인용(왼쪽) 삼성전자 CR담당 사장이 지난 12일 서울에서 그레이스 날레디 만디사 판도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협력부장관을 만나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지지를 요청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이인용(왼쪽) 삼성전자 CR담당 사장이 지난 12일 서울에서 그레이스 날레디 만디사 판도 남아프리카공화국 국제협력부장관을 만나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지지를 요청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전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최근 세계박람회(엑스포)를 개최한 국가들을 분석한 결과 자국의 장점을 활용한 차별화 전략으로 유치에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2030년 엑스포 유치전에 나선 부산도 한국만의 강점을 부각하는 전략을 쓰면 유치에 승산이 있다는 분석이다.

전경련은 13일 ‘세계박람회 유치 성공 사례와 시사점’ 자료를 내고 중국, 아랍에미리트(UAE), 이탈리아, 일본 사례를 통해 2030 부산엑스포 유치 전략과 방향을 이 같이 제시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2010년 상하이 엑스포를 개최한 중국은 중앙정부의 강력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유치에 성공했다. 장쩌민 당시 중국 국가주석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 이어 2010년 엑스포를 2대 국가행사로 규정하고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주룽지 당시 총리도 국제박람회기구(BIE) 의장과 사무총장, 회원국 인사들을 찾아다니며 지지를 호소했다. 다자회의 등 주요 외교무대에서도 각국 정상을 상대로 한 지도부의 공세가 잇따랐다. 개최지 선정 1년 전에 이미 국제엑스포센터를 완공하고 부지 개발 계획을 세운 전략도 주효했다.



2020 두바이 엑스포 개최국인 UAE는 인터넷 이용자 비율이 높다는 강점을 살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홍보 전략을 추진했다. 엑스포 유치 해시태그 캠페인 등으로 개최지 투표 전 페이스북 팔로워를 85만여 명이나 확보했다.

관련기사



이탈리아는 인류 공통 과제인 식량 문제를 전면에 내세우는 전략으로 2015년 밀라노 엑스포 유치에 성공했다. ‘지구의 식량, 생명의 에너지’를 주제로 식품 안전, 농업·생물 다양성 기술에 초점을 맞췄다.

1970년 오사카 엑스포 개최 경험이 있는 일본은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유치를 위해 민관이 체계적으로 역할을 분담했다. 중앙정부는 외교 유치 교섭을 맡았고 지방정부는 유치 기본계획 초안을 마련했다. 일본 게이단렌(경제단체연합회) 등 민간이 주도하는 유치위원회를 끌어낸 것도 효과적이었다.

전경련은 한국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발전한 경험, 전 세계적인 한류 확산 등 강점을 활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에 관한 주제와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지자단체·민간의 유기적 협력 필요성도 강조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엑스포 개최지 투표권은 BIE 회원국에 있으므로 회원국 최고 결정권자의 관심사 파악 등 국가별 맞춤형 교섭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며 “한국만이 공유할 수 있는 개발 경험을 강조하고 민관이 전략적으로 대응하면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