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디스플레이, 2050년까지 '탄소중립' 선언…RE100 가입도

삼성디스플레이, 환경경영전략 발표

올해 말까지 해외 전 사업장 재생에너지 도입

저전력 기술 개발로 기후 위기 극복 동참

최주선 사장 "친환경 기술로 기후위기 극복"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삼성디스플레이가 2050년까지 실질적 탄소 배출을 ‘제로(0)’로 하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선언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3일 환경경영전략을 발표하고 이 같은 구상을 공개했다. 회사는 최근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만 사용하기로 약속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RE100’에 가입했다. 이를 통해 2050년까지 국내·외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전략 사용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회사는 지난 2020년 중국 사업장의 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미 마쳤다. 이어 올해 말까지 베트남과 인도 사업장을 포함한 모든 해외 사업장의 재생에너지 전력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기업의 업무 차량을 전기차·수소차로 전환하는 ‘2030 무공해차 전환’에 동참한다. 친환경차 비율 또한 매년 높여나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삼성디스플레이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기후 위기 극복에 동참한다는 방침이다. 지속적인 연구개발(R&D), 글로벌 재료업체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유기재료의 효율을 높여 디스플레이의 소비전력을 낮추고 차별화된 저전력 디스플레이 개발에 나선다. 회사는 2021년 ‘에코스퀘어 OLED’, 2022년 ‘에코스퀘어 OLED 플러스’ 등 매년 향상된 저전력, 친환경 기술 개발을 이뤄내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저전력 친환경 기술인 '에코스퀘어 OLED' 전시 모습. 사진 제공=삼성디스플레이삼성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저전력 친환경 기술인 '에코스퀘어 OLED' 전시 모습. 사진 제공=삼성디스플레이


‘대체 불가 자원’인 모래, 물 보호를 위해 공정 재료의 재자원화를 추진하고 자원순환형 소재 개발에도 적극 나선다. 디스플레이 산업 내 ‘순환 경제 생태계’(자원 절약과 재활용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친환경 경제 모델)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예를 들어 모래 고갈 위기 극복을 위해 디스플레이 공정의 주요 재료인 기판용 유리와 캐리어 글라스를 건축자재·유리섬유 원료로 재활용하는 비율을 높여갈 예정이다. 물 보호를 위해서는 제조 공정·인프라 개선을 통해 매년 용수 사용량을 절감하고 첨단 수처리 시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물 재이용률을 높여나가기로 했다.

회사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탄소중립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과제별로 구체적인 로드맵을 수립·이행하고 있다. 또 사내 ‘지속가능협의회’를 통해 다양한 환경경영 추진 과제들의 이행 경과를 점검해나갈 예정이다.

최주선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사장)는 “기업 경영의 첫 번째 원칙이 이제 ‘지구’로 바뀌어야 할 만큼 심각한 기후 위기에 직면했다”며 “지속적인 탄소 감축 노력, 디스플레이 산업 내 순환경제 생태계 확립, 저전력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인류 최대 난제인 기후 위기 극복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진동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