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인텔 "美, SK하이닉스 中 낸드 공장도 장비 통제 1년 유예"

인텔, 공식 트위터에서 승인 사실 밝혀

SK 인수 완료 때까지 다롄 공장 운영

미중갈등 장기화 땐 삼성 등 타격 불가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한국 기업들의 중국 공장에 대해 반도체 장비 수출 통제를 1년 유예한다는 방침을 통보한 가운데 SK하이닉스(000660)가 인텔에서 인수한 중국 다롄 낸드플래시 공장도 그 대상에 포함한 것으로 확인됐다.



업계에 따르면 인텔은 13일 자사 공식 트위터에 “미국 상무부가 11일 중국 다롄에서 1년간 낸드플래시 메모리 칩 운영을 계속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공지했다. 미국 정부의 이번 조치로 이 공장에도 1년 간 별도 허가 없이 반도체 장비를 반입할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



중국 다롄 낸드플래시 공장은 현재 SK하이닉스 소유다. 인수·매각 작업 완료 시까지 인텔이 운영만 한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20년 10월 인텔의 낸드 사업부를 90억 달러(약 10조 7000억 원)에 인수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12월 중국 당국에서 승인을 받아 1단계 인수 작업을 완료한 상태다. SK하이닉스는 1차 인수 대금으로 인텔에 70억 달러(약 8조 3000억 원)를 지급해 낸드플래시 메모리 기반 데이터 저장장치인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사업과 중국 다롄 낸드플래시 공장 자산을 넘겨받았다. 2차 대금 20억 달러(약 2조 4000억 원) 지급은 2025년 3월께 있을 예정이다. 인수를 완료하면 낸드플래시 웨이퍼 연구개발(R&D)과 다롄 공장 운영 인력, 관련 유·무형자산까지 이전받는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이달 7일 중국의 반도체 기술 확보를 막고자 중국 반도체 생산기업에 미국 기업의 장비 수출을 사실상 금지하는 새 수출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그러면서 외국 기업이 소유한 생산 시설은 개별 심사로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서는 1년간 허가를 받지 않아도 반도체 장비를 수입할 수 있도록 통제 조치를 사실상 1년 유예해 주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현재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공장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다롄 공장을 비롯해 우시 D램 공장, 충칭 후공정 공장을 가동 중이다.

미국의 유예 조치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일단 한숨을 돌린 상태다. 다만 미중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사업 불확실성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SK하이닉스는 지난 12일 “중국에서 반도체 제품 생산을 지속할 수 있도록 미국과 원만하게 협의가 됐다”고 설명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