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카드

카드사 리볼빙 잔액 6개월 연속 증가세…증가폭은 둔화

9월 6조9378억원…전월대비 1.9% 증가

서울의 한 음식점 출입문에 붙은 카드사 스티커의 모습. 연합뉴스서울의 한 음식점 출입문에 붙은 카드사 스티커의 모습. 연합뉴스





카드사들의 결제성 리볼빙(일부 결제 금액 이월 약정) 잔액이 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리볼빙은 신용카드 결제액의 일부만 내고 나머지는 다음 달로 넘기는 대출 상품이다.

관련기사



14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월 말 7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의 결제성 리볼빙 이월 잔액은 6조9378억원으로 전달 6조8100억원 대비 1.9%(1278억원) 증가했다. 지난 7월에서 8월 2.2% 증가한 것에 비하면 증가세가 소폭 둔화된 것이지만, 지난 3월부터 증가세를 꾸준히 이어가며 사상 최대치를 이어가고 있다. 개별사로 살펴보면 현대카드의 리볼빙 잔액이 전달대비 2.8%(341억) 증가해 증가폭이 가장 컸다.

리볼빙은 신용카드 이용 대금 일부를 다음 달로 넘겨 결제하는 서비스다. 신용카드 대금을 한꺼번에 결제하는 부담은 덜 수 있지만 이월된 카드 부채에는 법정 최고 금리(20%)에 근접한 높은 이자가 부과될 수 있다.

여신업계 관계자는 “고물가가 이어지는데다가 코로나 이후 소비심리 회복 등으로 소비 수요가 여전한 만큼 리볼빙 잔액이 증가하는 모습”이라고 풀이했다. 금융감독원은 올 5월 리볼빙 증가 추이에 따른 대책 회의를 여는 등 카드사 리볼빙 잔액 증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 8월 당국은 ‘신용카드 결제성 리볼빙 서비스 개선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다음달부터 △리볼빙 설명서 신설 △고령자 등 텔레마케팅을 통한 리볼빙 계약 체결 시 해피콜(불완전판매 확인 시 계약해지) 실시 △카드사 대출성 상품금리와 리볼빙 수수료율 비교 안내 강화 등을 시행할 예정인 만큼 리볼빙 잔액 증가세는 다소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