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1호선 출근길' 지연 이유 있었네…절반 이상이 20년된 노후차량

서울 지하철 1호선이 출근길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캡처서울 지하철 1호선이 출근길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캡처




서울 지하철 전동차의 절반 이상이 20년 넘은 노후차량이며, 1호선은 가장 느린 노선인 것으로 조사됐다. 적기 차량 교체와 차량 속도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 지하철의 전동차 총 3563칸 중 30년 이상된 노후 차량은 107칸, 26∼29년은 1192칸, 20∼25년은 823칸이었다. 20년 이상 차량 비율은 전체의 59.6%에 달했다.



서울 지하철 전체의 평균사용연수는 18.3년으로 대체로 노후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노선별로 보 4호선이 28.1년으로 평균사용연수가 가장 길었다. 4호선에 이어 사용연수가 긴 노선은 1호선(26.2년), 8호선(25.3년) 순이다. 평균사용연수가 가장 짧은 노선은 2호선(9.4년)이었다.

관련기사



노선별 운행속도는 표정속도(정차시간을 포함한 속도)를 기준으로 1호선이 26㎞/h로 가장 느리고 4호선이 40.1㎞/h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노선의 영업 거리는 312.3㎞, 역수는 278개, 소요 시간은 566.5분으로 전체 노선의 표정속도는 33.1㎞/h다. 표정속도는 정차 시간을 포함한 속도를 일컫는다.

공사는 2015년 1호선 63칸을 대수선한 뒤 기간을 연장해 사용하고 있다. 2호선 40칸 중 22칸은 개량 후 사용 중이고, 18칸은 신조차로 교체 중이다.

아울러 공사는 3호선 20칸을 신조차로 교체하는 작업을 연내 완료할 예정이다. 4·5·7·8호선 1176칸은 2026년까지 순차로 교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적기 차량 교체와 더불어 차량 속도 개선 방안도 장기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