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감원 "카카오 금융 서비스 지연 피해고객에 신속한 보상 이뤄지게 할 것"

신고 접수된 피해 사례에 대해 보상 이뤄졌나 모니터링

카카오 금융 계열사 비상대응계획 따라 조치했는지 점검…필요시 검사

전 금융사에 화재 대비 비상대응계획 재점검 조치





SK C&C 데이터센터 화재로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가운데 금융감독원은 카카오 금융 계열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금융 서비스가 상당 시간 지연된 원인을 살펴보면서, 피해를 입은 금융 소비자에 대한 신속한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도하겠다고 16일 밝혔다.



아울러 금감원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전체 금융사를 대상으로 전산센터 화재 발생 시 대응계획을 재점검 할 것을 주문했다.

관련기사



우선 금감원이 카카오 금융 계열사의 금융 서비스 피해 현황을 파악한 결과 카카오뱅크는 주 전산센터가 서울 상암동에 위치해 있어 화재 피해로 인한 전산상 직접 손상은 없다. 계좌이체 송금은 계속 정상 가동되고 있으며, 카카오톡을 통한 간편이체(1일 100만원 한도)가 일부 작동하지 않아 계좌 이체 방식으로 송금하도록 안내하고 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판교 주전산센터에 화재 피해가 발생했지만 곧바로 재해복구센터 가산디지털단지 전산망으로 연계해 금융거래가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화재 사고 이후 송금 및 결제 서비스가 중단됐지만 전날 오후 7시부터 대부분 서비스가 순차적으로 정상화돼 현재는 송금 결제 등이 정상 운영되고 있다. 금감원은 “다만 카카오톡과 연계된 인증 서비스와 상담 서비스 등은 현재 복구 작업 중에 있다”면서 “송금 알림톡 등은 현재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카카오증권도 판교 주전산센터 관련 데이터 처리를 즉시 재해복구센터 가산디지털단지로 이관했다. 고객계정은 클라우드 서비스로 관리되고 있어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금감원은 카카오 금융 계열사들이 이번 화재로 인한 금융 소비자 피해 현황 파악을 위한 피해 신고 접수를 즉시 가동하도록 했다. 신고 접수된 피해 사례에 대해 합당한 보상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산센터 화재사고 발생 후 카카오 금융 계열사가 비상대응계획에 맞춰 신속한 조치가 이뤄졌는지 점검하고 필요하다면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전체 금융회사에 대해 전산센터 화재에 대비한 비상대응계획을 재점검토 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라면서 “특히 자체 시스템이 아닌 외부 시스템과 연계된 서비스의 비상운영계획을 세밀하게 수립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윤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