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나홀로 중장년 요리교실 인기… 서울 ‘행복한 밥상’ 참여자 1000명 돌파

서울시 중장년 1인가구 요리 프로그램 ‘행복한 밥상’ 참여자가 실습실에서 요리를 만들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시서울시 중장년 1인가구 요리 프로그램 ‘행복한 밥상’ 참여자가 실습실에서 요리를 만들고 있다. 사진 제공=서울시




서울시가 중장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올 4월 시작한 ‘행복한 밥상’ 사업이 시행 6개월 만에 누적 참여자 수 1000명을 돌파했다고 16일 밝혔다.



서울시가 행복한 밥상을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장년 1인가구의 만족도도 기대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침여자들은 강사의 전문성·소통 등에 대해서 98.2%, 프로그램 구성·운영에 96.3%, 강사·프로그램 외 교육 환경, 참여자간 교류와 같은 전반적인 편의성·유용성 등도 87.8%가 만족도를 나타냈다.

관련기사



행복한 밥상의 인기 요인으로는 건강한 요리를 혼자서도 만들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알차고 참여자간 유대감을 형성해 심리적 안정을 제공한다는 점이 꼽힌다. 시는 행복한 밥상의 인기를 반영해 내년부터 사업 참여 자치구를 기존 10개에서 15개로 확대하는 한편 건강 관리, 운동 교육 등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요리를 매개로 형성된 유대감·소통이 지속될 수 있도록 다양한 자조모임을 지원하는 등 사업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다.

서울시 1인가구 실태조사에 따르면 1인가구는 주로 식욕이 없거나 혼자 먹기 싫어서 식사를 거르는 경우가 절반(48.1%)에 이르고 있다. 특히 중장년 1인가구의 경우 28.4%가 혼자 살기에 불편한 점으로 ‘혼자 밥 먹기 싫거나 불편하다’는 점을 꼽았다.

중장년 1인가구는 1인가구 중에서도 사회적 고립(15.2%)과 외로움(65,4%)을 느끼는 비율이 다른 연령대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외로움 대처에 있어서도 혼밥·혼술(19.8%) 또는 게임·인터넷(9.5%)을 하는 경우가 주를 이뤘다. 아무 대처도 하지 않는 비율(11.5%)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행복한 밥상은 중장년 1인가구의 식생활 개선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소통의 장으로서 사회적 관계망 회복에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행복한 밥상을 통해 중장년 1인가구가 여러 사람들과 소통·교류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지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