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피플

홍재하 지사 유해, 103년 만에 고국 품으로

내달 중 대전현충원에 안장

홍재하(1892∼1960) 애국지사의 아들 장 자크 홍 푸안(80) 씨가 지난 14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의 한 식당에서 아버지 사진을 들고 있다. 2022.10.16 runran@yna.co.kr홍재하(1892∼1960) 애국지사의 아들 장 자크 홍 푸안(80) 씨가 지난 14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의 한 식당에서 아버지 사진을 들고 있다. 2022.10.16 runran@yna.co.kr




[홍 지사의 아들 장 자크 홍 푸안 씨 제공. 연합뉴스 자료사진][홍 지사의 아들 장 자크 홍 푸안 씨 제공.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역만리에서 하루 벌어 하루를 살면서도 독립운동 자금을 한 푼 두 푼 모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보냈던 홍재하(1892∼1960) 애국지사가 고국으로 돌아간다. 홍 지사가 일제 탄압을 피해 러시아와 영국 등을 거쳐 우여곡절 끝에 1919년 프랑스에 처음 발을 디딘 지 103년 만이다.



16일 주프랑스 한국대사관과 프랑스한인회에 따르면 국가보훈처가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본국 봉환 사업으로 11월 홍 지사를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다음달 10일 콜롱브 시립묘지에서 홍 지사의 유해를 인수해 화장한 뒤 11일 스위프에서 추모 행사를 하고 12일 파리에 있는 한국 대사관에서 분향소를 운영한다.

관련기사



일제 강점기에 영국에서 일본으로 끌려갈 뻔했던 홍 지사는 황기환 임시정부 파리위원부 서기장 덕에 프랑스로 피신했고 제1차 세계대전으로 폐허로 변한 동부의 작은 마을 스위프에서 전후 복구 사업에 투입됐다. 홍 지사는 1919년 12월부터 6개월 동안 받은 일당을 다른 한국인 30여 명과 함께 모아 총 6000프랑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써 달라며 임시정부 파리위원부에 전달했다.

당시 일당은 3프랑에 불과했고 그마저도 절반은 집세로 내야 했기 때문에 먹고 살기도 빠듯했지만 홍 지사를 비롯한 한국인들은 일제 치하에서 고통 받을 조국을 생각하며 어려움을 감내했다.

김상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