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호남 상공계 "금호 타이어 살려야" 법원에 호소

내년 말 1조대 부채 만기 도래

내달 16일 통상임금 소송 선고

광주상의 "경영상황 감안 선처를"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전경. 서울경제DB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전경. 서울경제DB




호남 경제의 한축을 담당하고 있는 금호타이어의 위기설이 커지면서 지역 상공계를 중심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내년 말 1조 원대의 부채 만기가 돌아오고 통상임금 소송 선고도 앞두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부담으로 꼽힌다.



16일 광주·전남 지역경제계에 따르면 금호타이어 통상임금 소송 파기환송심 선고가 다음달16일 나올 예정이다. 선고 결과에 따라 금호타이어가 노동자 3000여 명에게 2000여억 원에 달하는 미지급 통상임금을 지급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릴 수 있어 지역경제 전반에 미칠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관련기사



이에 광주상공회의소는 최근 지역경제계의 입장을 담은 호소문을 발표하고 “금호타이어 광주 곡성공장의 연매출액이 1조 5000억 원에 달하고 협력업체 등 간접적인 고용 인원까지 포함하면 1만 명에 이른다”며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므로 금호타이어의 어려운 상황을 고려해 법원의 선처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야심차게 추진했던 부지 이전 문제도 금호타이어의 악재다. 현재 심각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금호타이어 입장에서는 1조 2000억 원 이상이 예상되는 공장 이전 비용을 마련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조속한 부지 이전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많지만 광주는 특혜 등의 이유로 용도 변경이 불가하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2015년 워크아웃 졸업 후 경영 적자가 누적된 데다 내년 말 약 1조 원대에 이르는 대규모 부채 만기가 다가오고 있는 것도 부담이다. 이 때문에 자칫 내년에 부채를 상환하지 못한다면 총체적인 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금호타이어의 한 관계자는 “2023년 말 대규모 부채를 상환해야 한다는 점도 부담이지만 다음달로 예정된 통상임금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지급 불능에 준하는 경영 위기가 발생할 수 있어 다각도로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광주=박지훈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