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소모품 전락 국민영웅'…코로나 줄자, 간호사들 '나가라' 압박

대한간호협회 설문조사…병동 폐쇄 후 부당 대우 토로

강선우 "고무줄 행정명령에 영웅들 절망…인력 대책 필요"

방호복 입은 간호사가 코로나19 음압병동에서 물품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캡처방호복 입은 간호사가 코로나19 음압병동에서 물품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캡처




코로나최전방을 지키며 ‘국민 영웅’으로 불렸던 간호사들이 재유행이 안정화되면서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확보한 대한간호협회의 코로나19 병동 간호사 부당근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병동 폐쇄 뒤 기존 근무부서로 돌아가지 못한 간호사의 60.3%(138명)가 무급휴직이나 권고사직 압박을 당했다고 답했다.

앞서 간호협회는 지난달 19일부터 25일까지 일주일간 코로나19 치료에 참여한 전국 245개 병원 간호사 764명(코로나19 병동 근무자 58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휴직·사직 압박 관련 문항은 코로나19 병동 감축 이후 원래 근무했던 부서로 복귀하지 못한 간호사 229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 가운데 83.0%(190명)는 본인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타부서 근무가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중에서도 69명은 타부서 근무 가능성에 대한 사전 설명조차 듣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기존 근무 부서로 돌아가지 못한 간호사들은 인력이 없는 부서에 배치(38.0%·87명)되거나, 매일 다른 병동을 돌며 헬퍼 역할(37.1%·85명)을 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관련기사



이들은 “간호사의 희생을 당연시하는 데 분노를 느꼈다”, “쓰다가 버려지는 소모품 취급을 당해 절망했다”, “간호사 업무에 회의감이 들었다”, “혼선을 초래한 정부 정책에 불만을 느꼈다” 등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냈다. 간호협회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극한의 업무강도와 위험부담을 견딜 수 있었던 것은 사회적 인정과 지지 덕분이었는데, 코로나19 유행이 감소한 이후 바로 버려지는 현실에 배신과 분노, 절망을 느낀 것”이라고 해석했다.

무급휴직·권고사직 압박을 받지 않았다고 답한 간호사는 229명 중 9.6%(22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들도 연차 강제 사용과 타 병동 헬퍼 역할 등 다른 압박을 경험했거나 여러 차례 부서가 옮겨지는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답했다.

간호사들이 코로나19 병동으로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캡처간호사들이 코로나19 병동으로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캡처


하지만 이 같은 부당한 대우에도 대부분의 간호사(62.0%)가 코로나19 재유행 시 병동 배치를 수락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다만 ‘흔쾌히 수락한다’는 답변은 0.4%였고, 32.7%는 ‘원부서 복귀를 약속한다면 수락한다’고 답했다. 28.9%는 ‘어쩔 수 없이 수락하겠다’고 답했다. 하지만 30.1%는 감염병 병동에 다시 배치되면 사직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었다.

간호협회는 “‘코로나 전사’, ‘코로나 영웅’이라는 공치사 같은 말보다는 실질적인 간호사 안전대책과 적정한 보상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강선우 의원은 “간호사들은 지난 3년간 코로나19 최전선에서 싸웠지만, 환자가 감소한 이후로는 잉여 인력 취급을 당하는 등 부당한 근무 환경에 처한 사례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면서 “투입된 인력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