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카카오 화재 원인은 배터리 1개 스파크…진화 작업 위해 전체 '셧다운'

데이터센터 누전 위험 막으려 전체 전원 차단

배터리 1개 모두 탔으나 화재 규모 크지 않아

진화 난이도 높아…경찰 "배터리 등 정밀감식"

15일 화재가 발생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 판교 캠퍼스 A동에서 관계자들이 복구작업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15일 화재가 발생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 판교 캠퍼스 A동에서 관계자들이 복구작업을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연합뉴스




3일 간 이어지고 있는 카카오 오류의 원인은 지난 15일 SK 판교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배터리 화재로 드러났다. 당시 지하 3층 전기실의 배터리 1개에 불이 붙어 진화 작업을 위해 센터 전체의 전원을 차단하면서 카카오뿐 아니라 네이버 등의 서버 기능까지 중단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데이터센터 내 전기 공급선이 서로 연결돼 있어 누전 위험을 막기 위해 전체 전원을 차단했던 것이다.

17일 관계 당국에 따르면 이번 화재는 지난 15일 오후 3시 19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 판교 데이터센터 A동 지하 3층 전기실에서 발생했다. 현장 CCTV에는 전기실 내 배터리 중 1개에서 스파크가 일어나면서 화재가 발생하고, 이후 곧바로 자동소화 설비가 작동해 가스가 분사되는 장면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 불로 5개의 랙(선반)으로 이뤄진 배터리 1개가 모두 탔다. 해당 배터리 주변이 그을리기는 했지만, 또 다른 배터리가 전소하는 등의 추가 피해는 없었다.



화재 규모는 크지 않았으나 화재의 여파는 매우 컸다. 불이 나자 전력에 이상이 생기기 시작했고, 오후 3시 33분에는 카카오와 연계된 일부 서버 전기 공급까지 끊겼다. 그러면서 카카오톡의 '먹통' 사태가 발생하는 등 카카오·다음 등 서비스에 오류가 생겼다.

관련기사



오후 4시 52분께 소방당국이 "화재 진압에 물을 사용해야 한다. 누전 위험이 있으니 전력을 차단해달라"고 요청하자 SK C&C 측은 센터의 전체 전력 공급을 차단했다. 이때부터는 카카오 연계 서버 뿐 아니라 네이버 등 모든 서버 기능이 중단됐다.

화재로 인해 센터 전체의 전원을 내린 뒤 무정전전원장치(UPS)를 30여 분간 가동했으나, 소방수를 사용해야 하는 시점부터는 누전 위험 등을 막기 위해 UPS 또한 멈춰 세워야 했다. 당초 무정전전원장치(UPS)에서 불이 붙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는 이번 화재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SK C&C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내 전력 공급망은 층수 등과 관련 없이 모두 연결돼 있어 이번 화재처럼 진화 과정에서 누전 등이 우려되는 경우 불이 난 장소의 전원만 내려서는 위험을 막을 수 없다"며 "전기를 차단해야 하는 이번 상황 같은 경우 UPS 또한 작동이 불가하다"고 말했다.

소방당국은 화재 당일 현장 브리핑을 통해 "불이 난 랙의 두께가 1.2m가량"이라며 "유압장치 등을 이용해 (랙을) 벌려가면서 소화약제를 투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배터리 내부를 파헤치며 작업을 해야 하는 탓에 불을 끄기도 어렵고, 진화가 완전히 됐는지 확인하는 데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배터리에서 스파크가 발생한 원인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우선 전기적 요인으로 인해 불이 난 것으로 보고 있는 경찰은 현장 감식을 통해 수거한 배터리 등을 정밀감식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한다는 계획이다.


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