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경제과학진흥원, 콩바이러스 신규 진단 항체 개발

진단용 항체 수입대체 효과…관련 산업 활성화 기대

경과원 전경경과원 전경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이 식량작물 식물바이러스 진단키트 개발 중 ‘콩바이러스(콩황화모틀모자이크바이러스)’를 진단할 수 있는 항체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개발은 이미기 경과원 바이오센터 박사, 권명희 아주대 의과대학 교수, 이영규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박사, 이수헌 경북대 응용생명과학부 교수, 윤영남 박사 농촌진흥청 생산기술개발과 박사의 공동연구로 진행됐다.

관련기사



콩황화모틀모자이크바이러스(SYMMV)는 국내에서 최초로 발견된 바이러스로 콩과 식물을 감염시켜 작물 수확량을 감소시킨다. 감염된 개체는 이파리에 황색 모자이크가 나타나는 병증을 보이며 증상 없이 감염되기도 한다.

현재 SYMMV 감염의 진단에는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기법이 주로 사용되지만, 항체 기반 진단 방법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바이러스 전파를 통제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측면유동성분석법 (Lateral flow assay; LFA)에 적용할 수 있는 단클론 항체 개발을 통해 콩황화모틀모자이크바이러스(SYMMV) 신규 진단법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진단제품을 개발해 진단용 항체에 대한 수입대체 효과 및 국내 진단 관련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승경 경과원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바이러스 발생 초기 신속 진단을 통해 현장에서 선제 차단이 가능하게 하겠다”며 “작물바이러스 피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줄여 안정적인 농업 생산에 기여할 수 있게 온 힘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