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감염병 공동대응 서울선언문 채택한다

세계바이오서밋 25~26일 서울서

세계 보건장관 등 300여명 참석

코로나 경험 바탕 보건협력 논의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




폴 버튼 모더나 최고의료경영자폴 버튼 모더나 최고의료경영자


재닌 스몰 화이자 글로벌회장재닌 스몰 화이자 글로벌회장


리처드 해쳇 감염병혁신연합 대표리처드 해쳇 감염병혁신연합 대표


세계보건기구(WHO) 수석 과학자 수미야 스와미나탄 박사, 재닌 스몰 화이자 선진국시장 글로벌회장, 테시로기 이사오 시오노기 대표 등 국제기구와 글로벌 빅파마 대표 등 총 300여 명의 바이오 분야 정부·기업·학계 관계자들이 오는 25~26일 서울에 모여 글로벌 백신·바이오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각국 보건 장관들은 감염병 공동 대응을 약속하는 ‘서울선언문’을 채택하고, 기업 대표들은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 창출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한국 정부와 WHO가 공동 주최하는 ‘2022 세계 바이오 서밋’을 25~26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올해 처음 개최하는 바이오 서밋의 주제는 '백신·바이오 헬스의 미래'로, 정부는 앞으로 매년 서밋을 개최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첫날인 25일에는 우리 정부와 WHO의 개회사로 시작해 아사카와 마사쓰구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등의 축사가 이어진다. 리처드 해쳇 감염병혁신연합(CEPI) 대표, 제롬 김 국제백신연구소(IVI) 사무총장은 기조연설을 한다. 이어 글로벌 바이오 기업 대표들이 '포스트 팬데믹을 위한 미래 전략'을 주제로 코로나19 경험과 백신·바이오 산업 성장 계획을 공유할 계획이다. 기업대표 세션에는 재닌 스몰 화이자 선진국시장 글로벌회장, 폴 버튼 모더나 최고의료경영자, 테시로기 이사오 시오노기 대표,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 윤웅섭 일동제약 부회장 등이 참석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기업대표 세션은 대표들의 자유로운 논의를 위해 비공개로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26일에는 한국·엘살바도르·나이지리아·태국·미국·독일 등 각국 보건 장관들이 현장 또는 영상 축사를 한 뒤 국제 협력에 기반한 감염병 유행 대응을 약속하는 서울선언문을 채택한다. 각국 보건정책 담당자들은 △글로벌 바이오 인력 양성 △백신 연구·개발의 미래 투자 전략 △차기 감염병 대유행 대응을 위한 국제 전략 △백신·바이오 의약품 및 원부자재 공급망 △글로벌 진단기기 개발현황과 전망 △바이오·백신 의약품 규제 협력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세계 바이오 서밋이 앞으로 국제 사회의 중장기 과제를 논의하는 백신·바이오 헬스 분야 ‘다보스 포럼’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할 것”이라며 “세계 바이오 서밋 환영 행사를 한국 문화 콘텐츠로 구성해 문화와 바이오 헬스 한류 리더십을 확대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말했다.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