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어도비 맥스 2022'가보니…메타버스서 PDF 읽고 3D 모델링도 '척척'

메타 VR헤드셋 '퀘스트 프로' 활용

정교한 작업으로 최상 결과물 도출

피그마 인수로 이용자 저변 확대도

18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마이크로소프트 씨어터에서 열린 ‘어도비 맥스 2022’에서 샨타누 나라옌 어도비 최고경영자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정혜진 특파원18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마이크로소프트 씨어터에서 열린 ‘어도비 맥스 2022’에서 샨타누 나라옌 어도비 최고경영자가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정혜진 특파원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헤드셋을 쓴 상태로 눈 앞에 펼쳐진 PDF를 읽고 코멘트를 달거나 콘트롤러를 통해 손 끝으로 3차원(3D) 모형을 정교화하는 게 가능해진다. 포토샵으로 유명한 글로벌 창작자 도구 플랫폼 어도비가 메타(옛 페이스북)와 손을 잡고 PC와 태블릿을 넘어 몰입형 환경에서의 창작 생태계를 구축한다.

18일(현지 시간) 어도비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마이크로소프트 씨어터에서 연례 행사인 '어도비 맥스 2022'를 열고 “메타와 파트너십을 통해 PC에 한정됐던 3D 작업 애플리케이션(앱) ‘서브스턴스 3D’를 AR 환경으로도 가능하게 했다”고 밝혔다.



이날 지오반니 낙필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직접 퀘스트 프로를 이용해 용의 형상을 조형물로 빚어내는 과정을 보여줬다. 용의 날개, 목 그리고 몸통을 연결하는 부위를 부드럽게 빚는 한편 사이즈를 조정하거나 세부적인 디테일을 바로 잡는 과정이 불과 3~4분 안에 이뤄졌다. 실제로 예술가로 활동하는 낙필 디렉터는 “조형물이 내 눈앞에 펼쳐진 상태에서 쉽게 용의 비늘 등 작은 디테일을 컨트롤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며 “재질, 패턴을 정하고 색칠을 하면서 생명을 불어넣는 과정이 빠르고 자연스럽게 진행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18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마이크로소프트 씨어터에서 열린 ‘어도비 맥스 2022’에서 지오반니 낙필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3D 모델링을 하는 모습을 시연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정혜진 특파원18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마이크로소프트 씨어터에서 열린 ‘어도비 맥스 2022’에서 지오반니 낙필 어도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3D 모델링을 하는 모습을 시연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정혜진 특파원


최근 어도비는 200억 달러(약 28조원)에 창작용 소프트웨어 피그마를 인수하기로 하면서 이용자층 확대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기존에 전문가용으로 여겨졌던 어도비 창작 도구와 달리 피그마는 직관적이고 단순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용자 확대의 일환으로 1000만명에 달하는 비영리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무료 버전인 어도비 익스프레스를 배포하기로 했다.

샨타누 나라옌 어도비 최고경영자(CEO)는 “모든 이용자들이 쉽게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추고 협력 상황에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기조연설에 참석한 딜런 필드 피그마 공동창업자는 “어도비와 손을 잡고 3D, 영상 등에 도전할 수 있어서 기대가 된다”고 전했다.

어도비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센세이 엔진’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데이비드 와드와니 어도비 디지털 부문 사장은 “클릭 하나만으로 피사체를 선택하고 지운 뒤 배경을 채우는 기능 등 백여개의 기능이 AI를 바탕으로 개발, 활용되고 있다"며 “다만, 센세이 AI가 인간의 창의성을 대체하는 게 아니라 이용자는 창의성 발휘에 집중할 수 있도록 그 외의 작업에서 자동화를 구현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정혜진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