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美, '메이드 인 USA' 배터리 광물에 대규모 투자…中 의존 낮춘다

동맹과 공급망 강화 위한 배터리 이니셔티브도 발표

美 당국자 "푸틴 석유 처럼 중국 광물에 의존할 수 없어"





미국 정부가 전기차 시대의 핵심인 배터리 원료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국내 기업에 조 단위 보조금을 지급하는 한편, 동맹국들과 배터리 공급망을 강화한다. 반도체에 이어 전기차 배터리 역시 '메이드 인 아메리카(Made in America)’ 기조를 공고히 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에너지부가 인프라법에 근거해 12개 주에 걸쳐 20개 배터리 기업에 약 28억 달러(약 4조원)를 지급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동맹간 배터리 공급망 구축을 위한 '미국산 배터리 원료 구상'을 전격 발표했다.

에너지부가 이날 지급한 자금은 민간 자본과 매칭돼 총 90억 달러로 늘어나며, 이는 리튬과 흑연, 니켈, 전해질, 산화규소 등 전기차 배터리 원료 개발·생산에 투입된다. 백악관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연간 200만 대 이상의 전기 자동차에 공급할 충분한 리튬을 개발하고 흑연과 니켈 또한 상당량을 국내에서 생산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미국 내 배터리 생산을 위한 자금 지원은 추후에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은 인프라법, 반도체 및 과학법,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합해 총 1,350억 달러가 광물 조달 및 생산, 배터리 제조에 투입되며 이를 통해 미국 전기차의 미래를 건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악관은 또 범정부 차원의 노력인 '미국산 배터리 원료 구상'을 통해 동맹간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구축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관련기사



이 구상은 백악관 조정위원회가 이끌고 에너지부와 내무부, 국무부 등이 참여한다. 구체적으로 '글로벌 인프라·투자 파트너십'(PGII)을 통해 세계 파트너 및 동맹과 손잡고 핵심 광물 공급망과 에너지 안보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PGII는 지난 6월 주요 7개국(G7) 정상희의에서 발표된 것으로,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에 맞서 개발도상국의 사회기반시설 구축에 2027년까지 6,000억달러를 투자하는 구상이다. 백악관은 “이를 통해 배터리 자원 매장지를 찾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전시키며,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추출·처리·재활용에 대한 환경 및 노동 기준을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같은 구상이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것임을 분명히 했다. 백악관은 "현재 중국이 핵심광물 공급망의 많은 부분을 통제하고 있는데 미국 내 채굴·가공·재활용 능력을 갖추지 못하면 전기차 개발과 도입에 차질이 생기고 신뢰할 수 없는 외국 공급망에 의존하게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정부는 이에 앞서 지난 3월 말에도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필수 광물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한국전쟁 당시 만든 국방물자조달법(DPA)을 발동했다. DPA는 대통령이 국가안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한 물품을 생산기업의 손실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우선 조달할 수 있도록 한 법이다.

바이든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날 “전 세계가 화석 에너지 시대에서 클린 에너지 시대로 바뀌는 가운데, 우리는 화석 에너지 시대에 독재자 푸틴의 석유에 의존했던 것 처럼 결정적인 광물 들을 중국에 의존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