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장애학생에게 대입은 높은 벽…특별전형 등록, 모집인원 절반 수준

올해 국내 4년제大 등록, 선발인원의 51%

서울대선 지난 5년간 30% 수준에 불과

사진 제공=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사진 제공=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선발인원이 모집인원 대비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학생들에게 대학 입학이 높은 벽으로 작용하는 만큼 대학들이 특별전형 취지에 맞게 운용되도록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학년도 국내 4년제 대학 109교의 특수교육대상자 특별전형 모집인원은 총 1622명이었으나 실제 선발돼 등록된 장애 학생은 827명에 그쳐 모집인원 대비 등록인원이 51%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특히 서울대의 경우 선발 비율이 낮았다. 서울대는 2018~2022학년도 5년간 매년 모집인원을 18명으로 해 특수교육대상자 전형을 운영했지만, 실제 선발은 4~7명 수준으로 전체 모집인원 대비 30%밖에 선발하지 않았다.

지원인원이 미달됐던 것도 아니었다. 2021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지원 인원이 모집인원을 넘어섰다. 2018년 지원인원 29명에 선발·등록 인원 5명, 2019년 지원인원 28명에 선발·등록 인원 4명, 2020년 지원인원 23명에 선발·등록 인원 6명, 2022년 지원인원 33명에 선발·등록 인원 7명으로, 지원인원의 4분의1에서 6분의1 정도의 학생만이 선발됐다.

강민정 의원은 “올해 특수교육대상 고교 졸업자 중 일반대학·전문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은 20%에 불과한데 이는 2021년 전체 고등학교 졸업생의 대학 진학률 73.7%와 비교하면 큰 차이가 난다”며 “대학들은 특별전형 취지에 맞게 운용되도록 장애 학생들에 대한 진입의 벽을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