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해군, '해양무인전력사령부' 창설 추진…함대는 2개로 축소

해군본부·해병대, 21일 국방위 업무보고

'수중킬체인' 등 해상기반 3축체계 구축

尹대통령 공약 맞춰 해병대 독립 검토중

공군, 극초음속 공대지미사일 사업 추진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8일 오전 울산시 현대중공업에서 열린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함 진수식이 끝난 뒤 승조원들과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8일 오전 울산시 현대중공업에서 열린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함 진수식이 끝난 뒤 승조원들과 인사하고 있다./연합뉴스





해군이 함대를 현행 3개에서 2개로 축소하고 ‘해양무인전력사령부’ 창설을 추진한다. 해병대는 해군에서 독립해 ‘4군 체제’로 가는 방안을 중장기적으로 검토 중이다.

관련기사



해군본부와 해병대사령부는 21일 계룡대 해군본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업무보고를 진행했다. 해군은 미래 병역자원 감소에 대비, 함대사령부를 2040년대에 2개로 줄이기로 했다. 대신 해양무인전력사령부 창설을 추진한다. 무인수상함전대와 무인잠수정전대, 무인항공기전대 등으로 구성한다.

해군은 ‘수중 킬체인’과 해상 기반 다층 미사일 방어체계, 해양 전력을 이용한 정밀타격능력 강화 등 해상 기반 기동형 3축 체계도 구축한다. 해병대는 윤석열 대통령 공약에 맞춰 해군에서 독립해 ‘4군 체제’ 전환을 검토 중이다.

한편 공군본부도 이날 국감에서 극초음속 공대지 미사일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보고했다. 비대칭 타격 능력을 위한 초정밀·고위력 미사일 확보를 위해서다. 전투기 조종사 항공수당도 20% 올린다. 정부는 2016년 조종사 항공수당을 5% 인상한 이후 동결해왔다. 이 밖에도 공군은 2025년까지 우주 기상 예·경보체계 및 우주공통작전상황도를 갖춰 제한적 우주감시 능력과 우주 작전 수행 여건을 조성하기로 했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