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키맨’ 조정훈 “특검 내용 보고 찬반 결정…민주당 연락은 아직”

조정훈 협조시 野, 법사위서 특검 패스트트랙 가능

“‘김건희 특검’과 달라…‘대장동 특검’ 명분 충분”

“대장동 진실 밝히고 부당 이득은 회수해야”

조정훈 시대전환 대표가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시대전환 전국대표당원대회에서 당대표 연임에 성공한 뒤 취임사를 하고 있다. / 권욱 기자조정훈 시대전환 대표가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시대전환 전국대표당원대회에서 당대표 연임에 성공한 뒤 취임사를 하고 있다. / 권욱 기자




조정훈 시대전환 대표가 25일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하는 ‘대장동 특검’의 법안 내용을 보고 찬반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대장동 특검 법안 강행의 ‘키맨’으로 떠오른 조 대표가 특검 협조 여부를 열어둔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조 대표는 이날 한 라디오(KBS) 방송에 출연해 “정치인으로서 고민은 해야겠지만 판단이 신속해야 하기도 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직 (특검) 법안 내용도 보지 못했다”며 “무슨 내용이 들어갈지 논의해야 할텐데 아직 민주당 측에서 전화 한 통 없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측에서 법안을 함께 논의하자고 제안하면 함께 하겠느냐’는 질문에는 “고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검찰이 민주당사를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망을 좁혀오자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특검을 통해 진실을 규명하자고 역제안했다. 여당은 특검에 반대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민주당이 법제사법위원회에서 특검 법안을 강행하기 위해서는 조 대표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법사위에서 패스트트랙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전체 위원(18명)의 5분의 3인 11명의 동의가 필요해서다. 민주당 법사위원은 총 10명이다.

관련기사



조 대표는 지난해 민주당이 발의한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검과 달리 대장동 특검은 명분이 있다는 입장이다. 그는 “대장동 특검과 ‘김건희 특검’은 내용이 완전히 다르다”며 “(김건희 특검이) 특정 인물에 대한 것이라면 대장동 특검은 대상이 사건 그 자체”라고 지적했다. 김건희 특검이 정치적 목적으로 특정인을 겨냥한 것이라면 대장동 특검은 국민적 관심이 높은 부정부패 사건이라는 이유에서다.

조 대표는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대장동 개발 과정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고 누가 부정 이익을 취했는지가 중요하다”며 “부당 이익은 사회가 환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조 대표는 “(대장동 의혹을 규명하는데) 특검이 가장 효율적인 방식인지는 고민”이라며 “특검은 굉장히 날카롭고 강력한 반면 부작용도 있다”고 설명했다.

조 대표는 검찰과 감사원의 정치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우려하기도 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검찰의 견제장치가 느슨해 졌다”며 “법사위에서 활동하며 이 부분에 대해 계속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 대표는 “검찰뿐 아니라 감사원까지 나서 수사를 진행하는 모습은 부적절 하다”며 “감사원의 정치적 독립을 위한 활동에도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민주당의 ‘감사원 개혁’에 동참할 수 있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어 눈길을 끈다.

한편 조 대표는 민주당의 국정감사·시정연설 보이콧에는 부정적이었다. 그는 “국정감사나 시정연설을 보이콧 한다는 표현은 성립되지 않는 문장”이라며 “의무를 어떻게 보이콧 하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의무를 태만하게 하는 것은 직무유기”라며 “아무리 당대표라고 해도 특정 정치인을 지키기 위해 (정치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조 대표는 최근 ‘대장동 키맨’으로 불리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호소하기도 했다. 그는 “캐스팅 보터라는 것이 상당히 부담”이라며 “요새 하루하루가 살얼음판을 걷는 것 같다. 칼날 위를 걷는 느낌”이라고 토로했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