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머리맞댄 '제2 채안펀드' …관치·배임 우려에 난항

'대형사가 왜 중소사 돕나' 분분

PF ABCP 매입 리스크도 부담


대형 증권사가 중소형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을 사들이는 이른바 ‘제2 채권시장안정펀드’ 논의가 금융투자협회 주재로 연일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금융위원회의 관치라는 지적에 경쟁사인 중소형사를 돕는 것이 배임이라는 논란까지 불거지며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26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금투협과 대형 증권사 9곳은 이날 오전 금투협에 모여 제2 채안펀드 조성과 PF ABCP 매입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24일 나재철 금투협회장 주재로 증권사 사장단과 단기자금 시장 경색 해소를 위해 대책을 논의한 것의 후속이었다.



이번 회의에서 금투협과 대형 증권사들은 제2 채안펀드 조성에 대한 공감대를 이루지 못했다. 대형 증권사의 한 관계자는 “중소형사가 리스크 관리를 못한 것에 대해 대형사가 도와야 한다는 논리인데, 납득하기 어렵다”며 “돕기로 하더라도 배임 논란이 불가피하고 이사회를 설득할 근거도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대형 증권사가 제2 채안펀드 조성에 난감한 기색을 표하는 또 다른 이유는 리스크 확대 가능성이다. 대형 증권사의 한 관계자는 “대형사는 엄격한 심사 기준을 통해 부동산 PF 사업을 추진했는데 중소형사는 상대적으로 리스크 관리 체계가 부족하다”며 “대형사가 중소형사의 PF ABCP를 매입할 경우 없던 리스크를 떠안게 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일각에서는 관치 논란도 제기됐다. 금융위가 금투협을 통해 대형사의 중소형사 지원 방안 마련을 주문했다는 것이다. 정부의 실패를 시장에 떠넘기는 조치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이에 대해 금융위 관계자는 이날 “증권사들에 1조 원짜리 채안펀드를 조성하라고 얘기한 적 없다”며 “시장에서 정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ABCP에 대해서는 금융업권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씀드린 적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논란이 계속되며 제2 채안펀드 조성이 불발될 가능성도 나온다. 금투협 관계자는 “실제 펀드를 조성하기까지 많은 추가 회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해 단시간 내 결론을 내기 어렵다는 뜻을 전했다.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향후 논의가 진행되는 방향을 지켜봐야겠지만 현재 대형사들은 펀드에 자금을 갹출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고 말했다.

서종갑·김경미 기자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