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KB자산운용, '다이렉트인덱싱' 내년 상용화 추진





KB자산운용이 신성장동력으로 ‘다이렉트인덱싱’을 꼽으며 내년을 목표로 상용화에 나선다고 27일 밝혔다.

다이렉트인덱싱은 개인의 선호와 투자 목적 등을 반영해 개인화된 투자 지수를 구성하고(indexing), 이를 고객 계좌 내에서 개별 종목 단위로 직접(direct) 운용하는 기술과 서비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국시장에 긍정적인 투자자가 가장 손쉽게 투자하는 방법은 ‘KBSTAR 200’과 같은 코스피200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는 것이지만 특정섹터에 대해서만 부정적일 경우 이를 제외한 투자자만의 코스피200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일괄매수하면 된다.

관련기사



국내에선 아직 생소한 분야지만 미국 ETF 시장에선 이러한 개인 맞춤형 상품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올리버와이먼에 따르면 미국 내 다이렉트 인덱싱 시장규모는 2018년 185조 원, 2019년 385조 원, 2020년 500조 원으로 늘어났으며 2025년에는 215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창사 이래 한번도 인수합병(M&A)을 하지 않았던 글로벌 2위 운용사 뱅가드가 지난해 7월 세금관리 맞춤형 자산관리서비스업체인 저스트인베스트를 인수한 것과, 이에 앞선 2020년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아페리오를 인수한 것도 다이렉트인덱싱 관련 분야를 흡수하기 위함이었다.

KB자산운용은 9월 테스크포스조직(TF Team)을 결성한 이후 개발 전문 업체인 퀀팃과 시스템 개발 계약 체결을 완료했으며, 내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현승 KB자산운용 대표는 “지난 10년을 놓고 봤을 때 초기 5년은 주식형펀드가 회사의 성장동력이었고 최근 5년은 대체투자를 발판으로 한단계 도약했다”며 “미래 10년 먹거리로 남들보다 한발 앞서 다이렉트인덱싱 부문을 선점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김홍곤 KB자산운용 인덱스퀀트본부 상무는 “향후 다이렉트인덱싱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 형태에서 머물지 않고 초고도 리서치자료와 전문가의 자문을 받을 수 있는 다이렉트인덱싱 기반의 플랫폼 비즈니스로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