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與, 금융권에 금리인하 압박…"13.5% 카드론 부담 완화해야"

"국민고통이 금융권 축제 안돼"

발언하는 정진석 비대위원장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2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0.27 [국회사진기자단] uwg806@yna.co.kr (끝)발언하는 정진석 비대위원장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2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0.27 [국회사진기자단] uwg806@yna.co.kr (끝)




금리 상승으로 차주들의 부담이 가중되자 국민의힘이 금융권을 향해 고금리 완화 압박에 나섰다. 특히 서민들의 급전 창구로 이용되는 카드론의 평균 금리가 14%에 육박한다며 정부에 이자 완화 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27일 성일종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상반기 카드론이 1조 4000억 원 이상 증가했다. (카드론의) 금리가 평균 13.5% 전후, 캐시론은 17%에 달한다”며 정부에게 금리부담을 낮출 방안을 강구하라고 요구했다.

관련기사



성 의장은 “고금리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특별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취약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맞춤 금리 지원, 자동차 보험료 인하 등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드릴 수 있도록 민생 금융에 당과 정부가 모든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는 “금융권이 금리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쓴소리도 나왔다. 김상훈 비대위원은 “이자 때문에 국민들의 생계가 짓눌리기는 시기다. 연말 대출금리는 8%대가 예상된다”며 “시중 대출 70%가 변동 금리다. 자칫 이자 때문에 생계가 파탄 나는 금리부도 가능성도 높다”고 진단했다.

이어 올해 3분기 4대 금융지주의 이자수익이 전년 대비 21.1%(10조 1500억 원) 급증한 사실을 거론하며 “문재인 정부 때는 국민과 청년의 영끌에 기대 대출 규모를 키우더니 정권 교체로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자 고금리 빨대를 꽂아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국민 고통이 금융사의 축제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서민들의 고통 분담에 자발적으로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