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신경정신의학회 "이태원 사고 관련 혐오표현·영상유포 멈춰달라" 호소

30일 성명서 배포…"전 국민에 심리적 트라우마 끼칠까 우려"

29일 밤 서울 이태원에서 일어난 압사 사고 영향으로 대구 남구 앞산 카페거리 공영주차장에서 열리던 '2022 대구 핼러윈축제'가 30일 취소됐다. 사진은 행사장 앞에 설치된 이태원 압사 사고 희생자 애도 현수막. 연합뉴스29일 밤 서울 이태원에서 일어난 압사 사고 영향으로 대구 남구 앞산 카페거리 공영주차장에서 열리던 '2022 대구 핼러윈축제'가 30일 취소됐다. 사진은 행사장 앞에 설치된 이태원 압사 사고 희생자 애도 현수막. 연합뉴스





의료계가 지난 29일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발생한 대규모 압사 참사와 관련해 현장 영상 유표와 혐오표현 등을 멈춰달라고 촉구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30일 성명서를 통해 "여과 없이 사고 당시의 현장 영상과 사진을 퍼뜨리는 행위는 고인과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하고 2차·3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우리 모두가 시민 의식을 발휘해 추가적인 유포가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장 영상이나 뉴스를 반복해서 보는 행동 역시 스스로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자제해야 한다고도 권고했다.

관련기사



대규모 인명피해를 낸 이번 참사가 국민들에게 커다란 심리적 트라우마를 안겨줄 수 있어 우려스럽다는 게 학회 측의 공식 입장이다.

유가족과 현장에 있었던 이들에 대한 혐오 표현을 자제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학회는 "온라인상에서 나타나는 혐오 표현은 트라우마를 더욱 가중하고 회복을 방해한다"며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유포하는 행위는 고인과 피해자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으며 혐오와 낙인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재난 상황 해결에 어떤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또한 언론을 향해서는 "취재·보도 과정에서 피해자의 명예와 사생활 등 개인의 인권을 보호하고 사회적 혼란이나 불안을 야기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세월호 참사, 코로나19 대유행을 비롯한 국가적인 재난 상황 때처럼 민간 전문가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이번 참사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분들의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함께 하겠다"고 덧붙였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