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부 폭력 목격한 청소년…자살 생각 더 많이 한다

아동학대·부부폭력 목격 둘다 겪으면 자살 생각 2.5배

연구진 "위기 가정을 먼저 발굴위한 학교 현장의 변화 필요"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가정 학대를 직접 당한 청소년보다 부부간 폭력을 목격해 간접 피해를 본 청소년이 자살을 더 많이 생각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0일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에 따르면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재엽 교수팀은 지난 9월 학회지에 ‘청소년의 학대 피해와 부부폭력 목격에 따른 자살 생각 차이 분석’ 논문을 게재해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밝혔다.

연구진은 2014년 12월 약 3주간 전국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20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이후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가정폭력 유형에 따라 총 4개의 집단으로 구분했다. △청소년 본인이 직접 부모로부터 학대를 당한 ‘아동학대 가정환경’ △직접적 학대를 당하진 않지만 부모 간 폭력을 목격해 간접 피해를 본 ‘부부폭력 목격 가정환경’ △아동학대와 부부폭력 목격을 모두 경험한 ‘중복피해 가정환경’ △가정폭력 경험이 전반적으로 낮은 ‘저피해 가정환경’으로 분류했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절반가량(47.6%)은 저피해 가정환경에 속해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아동학대 가정환경(28.9%), 부부폭력 가정환경(12.3%), 중복피해 가정환경(11.1%) 순으로 많았다.

관련기사



연구 결과, 부부폭력 가정환경 청소년 중에서 자살 생각을 하는 비율(51.5%)은 아동학대 가정환경 청소년 중에서 자살 생각을 하는 비율(44.7%)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설명했다.

부부폭력 목격 청소년의 자살 위험성 예측은 자살 생각의 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자살 생각 평균 점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살 생각의 강도가 크다.

네 유형 중 자살 생각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유형은 중복피해 가정(0.99점)이었으나, 다음으로 큰 값을 차지한 유형은 부부폭력 목격 가정환경(0.79점)이었다.

아울러 중복피해 가정환경 청소년의 자살 생각 경험률(61.8%)은 피해를 거의 입지 않은 청소년(24.3%)의 2.5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간접적 폭력 경험인 부부폭력 목격만으로도 청소년에게 심각한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정의 문제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지원이 쉽지 않을 수 있다”며 “전문가인 학교사회복지사가 위기 가정을 먼저 발굴해서 지원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