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이란 군부 "나오지마" 협박에도…죽음 무릅쓴 반정부시위 이어져

강경 경고에도 “자유” 외치며 시위 계속돼

대학 내 무력충돌 多…총격 연신 울려퍼져

“독재자에게 죽음을” “지금은 애도가 아닌 분노할 때” ?

28일(현지 시간) 이란 수도 테헤란의 아자드 대학교에서 군사 당국이 학생들을 향해 총격을 가하며 진압하는 모습이 온라인 상에 공개됐다.AFP연합뉴스28일(현지 시간) 이란 수도 테헤란의 아자드 대학교에서 군사 당국이 학생들을 향해 총격을 가하며 진압하는 모습이 온라인 상에 공개됐다.AFP연합뉴스




'히잡 의문사'로 촉발된 이란 반정부 시위가 7주차에 접어든 가운데 주말 사이 군부가 “오늘이 마지막 폭동이 될 것”이라며 최후 통첩을 날렸지만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이란 곳곳에서 죽음을 무릅쓴 시위가 이어졌다.



로이터통신은 30일(현지 시간) 살상무기를 사용한 이란 정부의 과격 진압으로 반정부 시위가 더욱 폭력적인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보도했다. 바로 전날인 29일에 호세인 살라미 이란 혁명수비대(IRGC) 총사령관은 "오늘은 폭동의 마지막 날이 될 것"이라고 경고한 뒤 "이제부터 시위대는 거리로 나오지 말아야 할 것"이라며 대규모 유혈진압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관련기사



하지만 다음날에도 광범위한 반정부 시위가 벌어지자 온라인 상에는 무장 군인 및 사복 경찰들이 주요 대학교 일대에서 펼쳐진 시위에 진입해 학생들을 향해 총과 최루탄을 쏘는 영상이 공개됐다.

인권단체 이란 휴먼 라이츠(IHR)에 따르면 반정부 시위가 시작된 뒤 지금까지 아자드 대학교, 사난다즈 기술 대학교 등을 포함한 50개 이상의 대학에서 시위가 열렸으며 최소 200여명이 사망했다. 이란 인권운동가통신(HRANA) 역시 시위 이후 이달 29일까지 미성년자 44명을 포함해 최소 283명이 사망했으며, 1만 4000명 이상이 체포된 것으로 추산했다.

현재 이란에서는 지난달 13일 이란 여성 마흐사 아미니(22)가 히잡을 제대로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도덕 경찰’에 끌려갔다가 조사를 받던 중 16일 의문사하자 이를 계기로 정부 규탄 시위가 들불처럼 전역에 번지고 있다. 이란 정부가 인터넷 연결 차단과 언론 탄압, 무차별적인 폭력·구금 등으로 대응해온 가운데 이날 “시위 시작 이래 가장 가혹한 경고”를 날리며 본격적인 유혈 진압에 나섰다는 것이 로이터의 설명이다.

이란 내 인권 침해 문제를 우려한 국제사회도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로이터는 앞서 28일 미국과 알바니아가 다음 주 이란의 반정부 시위와 관련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공식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미국은 안보리에서 이란 정부의 인권 침해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촉구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유럽연합(EU) 역시 17일 폭력 진압 관련 이란 정부 인사 및 기관을 제재 목록에 올린 상태다.


장형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