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3년간 해외직구 50% ↑, 역직구 58% ↓…"中 적자 특히 확대"

전경련, 통계청 자료 분석…코로나19 이후 적자 전환

온라인 면세점 위축 등 영향…"전자상거래 수출 지원해야"

지난 8월 29일 인천 중구 인천세관 특송물류센터에서 관세청 관계자들이 추석 연휴를 앞두고 해외 직구 물품 등을 둘러보고 있다. /공항사진기자단지난 8월 29일 인천 중구 인천세관 특송물류센터에서 관세청 관계자들이 추석 연휴를 앞두고 해외 직구 물품 등을 둘러보고 있다. /공항사진기자단




코로나19 사태 이후 3년 간 전자상거래의 수입 개념인 ‘해외직구’는 증가했으나 수출에 해당하는 ‘역직구’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상거래에서도 무역 적자에 해당하는 부담이 늘고 있다는 지적이다.



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체 전자상거래(온라인 쇼핑거래액)는 99조 7000억 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전인 2019년 상반기(64조 6000억 원)보다 54.3% 늘었다. 이 가운데 해외직구액과 역직구액을 합산한 국경 간 전자상거래 규모는 4조 4000억 원에서 3조 7000억 원으로 15.9% 감소했다. 해외직구는 국내 소비자가 해외 판매자에게 상품을 직접 구매하는 것을, 역직구는 해외 소비자가 국내 판매자에게서 직접 구매하는 것을 각각 일컫는다.

관련기사



올 상반기 해외직구액은 2조 7000억 원으로 2019년 상반기(1조 8000억 원)보다 50%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역직구액은 2조 6000억 원에서 1조 1000억 원으로 57.7% 줄었다. 국경 간 전자상거래는 2016년 상반기 처음으로 역직구액이 해외직구액을 넘어선 이후 꾸준히 흑자를 보이다가 지난해 상반기 적자로 돌아선 뒤 그 폭을 계속 키우고 있다.

역직구액 감소 현상은 일본과 미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됐다. 특히 역직구액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던 중국에서 감소폭이 컸다. 중국의 역직구액은 2019년 상반기 2조 1990억 원에서 올 상반기 7497억 원으로 65.9% 줄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온라인 면세점 위축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같은 기간 한국 소비자들의 해외직구는 중국에서 101.4%, 유럽연합(EU)에서 46.2% 증가하는 등 세계 전 지역에 걸쳐 꾸준히 늘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해외 소비자들이 한국 판매자에게 쉽게 접근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해 해외 소비자 수요를 끌어와야 한다”며 “목록통관 수출 가능 세관 확대, 인접국 통관절차 간소화 등 전자상거래 수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