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시진핑 3기, 新인프라 구축 최우선…진출전략 수립해야”

무협, 창업 생태계 활용 등 제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24일 베이징에서 열린 군 간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24일 베이징에서 열린 군 간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이 시진핑 3기 경제 정책 중 신규 인프라 구축을 가장 먼저 서두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1일 발간한 ‘시진핑 3기 집권 후 중국의 경제발전 방향과 우리 기업의 대응 전략’ 보고서에서 “중국 정부가 20차 당 대회에서 밝힌 경제 발전 방향에 따라 향후 내순환 활성화와 기술력 증진에 초점을 둘 것”이라며 “5세대(5G) 통신망, 데이터센터, 고속·도시철도 등 신형 인프라 정책은 차세대 인프라 구축 정책으로 침체한 중국 경제를 단기간에 끌어올릴 수단인 만큼 우선 시행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이 밖에 신형 도시화, 인터넷 플러스, 중국 제조 2025, 쌍창 정책을 중국 정부가 향후 중점 추진할 경제 정책의 키워드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신형 도시화 정책은 호적제도 개편을 통해 중국 내 고질적인 지역과 계층 간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 주도 성장 모델 구축을 위한 핵심 정책으로 중국 정부가 신형 인프라 정책과 함께 적극적으로 병행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든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꾀하는 인터넷플러스 정책은 전자상거래, 게임, 공유경제, 핀테크 등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중국 제조 2025는 제조업 혁신 30년 일정에 따른 것으로, 반도체 자립 등 핵심 기술력 증진을 위한 연구개발(R&D) 확대,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향후 차세대 기술력 확보에 초점을 맞춰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4년부터 시행된 ‘대중창업, 만중창신(대중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모든 국민의 창의성을 발휘시킨다)’의 쌍창 정책은 혁신 주도 성장 모델 구축을 위해 지속해서 추진되며 창업 생태계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방향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보고서는 “먼저 차세대 인프라, 스마트 제조 분야, 내륙 개발 등 고속성장이 예상되는 산업에 대한 진출 전략을 적극적으로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핵심 도시군별 특화 산업과 중점 도시-주변 도시와의 연계 발전을 고려한 진출 방안 수립, 중국 2·3선 도시 및 농촌 지역의 소비 시장 공략, 한국 새싹기업(스타트업)의 중국 창업 생태계 활용 등을 제언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