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공연도 애도의 방식일 수 있어…슬플 때 음악으로 위로"

대중음악평론가 배순탁 인스타그램 캡처대중음악평론가 배순탁 인스타그램 캡처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발생한 압사 참사 직후 정부가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한 가운데, ‘애도를 강요한다’는 비판과 함께 다양한 애도 방식을 존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가애도기간 선포 후 대형 축제와 콘서트 등 각종 민·관 행사가 줄줄이 취소되면서 공연예술계는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이에 대중음악평론가 배순탁은 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언제나 대중음악이 가장 먼저 금기시되는 나라. 슬플 때 음악으로 위로받는다고 말하지나 말던가. 애도의 방식은 우리 각자 모두 다르다. 다른 게 당연하다. 방식마저 강요하지 말기를 바란다”고 적었다.



배순탁은 1인 포크밴드 ‘생각의 여름’ 가수 박종현이 지난달 31일 올린 글을 사진으로 첨부했다.

관련기사



앞서 박종현은 “예나 지금이나 국가기관이 보기에는 예술이 유흥, 여흥의 동의어인가 보다. 관에서 예술 관련 행사를 애도라는 이름으로 일괄적으로 닫는 것을 보고 주어진 연행을 더더욱 예정대로 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었다”며 “공연이 업인 이들에게는 공연하지 않는 것뿐 아니라 공연하는 것도 애도의 방식일 수 있다”고 소신을 밝혔다.

같은 날 대중음악평론가 김윤하는 자신의 트위터에 “마음이 정리되지 않은 채 찾은 주말의 한 공연장에서 공연 전 함께 피해자들 위해 잠시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다. 짧은 묵념이었지만 잠시나마 그 자리의 모두가 한마음이라는 것만으로 큰 위안을 받았다”면서 공연이 일상 속에서 애도할 수 있는 성숙한 방법일 수 있다고 했다.

이 같은 글이 올라오자 누리꾼들은 “애도는 각자 슬퍼하고 고인의 명복을 비는 것인데 왜 남의 밥그릇인 전시, 공연, 행사 등을 강제로 취소시키는지 모르겠다”, “마음은 국민들이 알아서 할테니 (정부는) 원인을 규명하고 행정참사에 책임을 져라”, “미국은 애도하는 뜻에서 추모공연을 하는데 우리는 예술에 대한 미운 털이 언제쯤 빠질지” 등의 댓글을 남겼다.

공연예술계뿐 아니라 용산구민들도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참사가 발생한 용산구는 올 연말까지 애도기간으로 정하고 관내 행사와 각종 단체 활동을 중단했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