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연금 받아도 생활비 부족해”…연금 받는 고령자 10명 중 5명은 계속 일해

전국경제인연합회, ‘고령인구의 노후실태 및 취업현황’ 분석

연금 받는 고령인구 370만명…절반이 ‘생활비 보탬’ 위해 계속 일해

이미지=이미지투데이이미지=이미지투데이




연금을 받는 고령자 가운데 일을 놓지 못하는 사람의 비중이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가 연금을 받아도 계속 일하는 이유로는 생활비 부족이 가장 컸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5년간 통계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55~79세 고령인구의 노후실태 및 취업현황’을 분석해 발표했다. 그 결과 지난 5월 기준 연금을 받으면서도 일을 놓지 못하는 55~79세 고령인구는 370.3만명으로, 5년 전인 2017년 5월 252.4만명보다 4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을 받는 고령인구 중 일하는 사람의 비중은 49.7%로 절반에 달했다.



연금을 받는 고령인구가 계속 일하는 이유로는 생활비 부족이 가장 컸다. 지난 5월 기준 국민 및 기초연금, 개인연금을 등을 모두 포함한 공?사적 연금의 월평균 수령액은 2인 기준 138만원으로, 지난해 말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조사한 ‘은퇴 후 최소 생활비’ 월 216만원의 약 64% 수준에 그쳤다.

관련기사



이미지=전국경제인연합회이미지=전국경제인연합회


또한, 통계청 고령층부가조사에 따르면 고령인구 10명 중 7명에 해당하는 68.5%는 미래에도 일하기를 희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 역시 ‘생활비 보탬’(57.1%)이라는 응답 비중이 가장 컸다.

한편, OECD 인구 전망에 따르면, 2022년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7.5%로, 3년 뒤인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추정됐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4%(고령사회)에서 20%(초고령사회)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7년으로, OECD 조사대상 37개국 중 가장 빠른 속도였다. △일본(11년), △미국(15년), △이탈리아(19년), △프랑스(29년), △독일(36년), △영국(51년), △오스트리아(53년) 등의 순으로 나타나 한국과는 최소 4년에서 최대 46년까지 차이가 있었다.

우리나라는 노인빈곤율도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20년 기준 40.4%로, OECD 조사대상 37개국 중 가장 높았고 OECD 평균(14.3%)의 2.8배에 달했다.

정혜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