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투자 혹한기' 최태원 회장의 조언…“소나기 먼저 피하라”

최태원 SK회장 스파크랩 데모데이 참석

긴축 기조서 “스타트업 내년 말까지 기다려야”

“기업들, 돈만 좇아선 사회로부터 버림받아"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스파크랩 주최로 열린 데모데이 행사에서 토크콘서트를 하고 있다. / 연합뉴스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스파크랩 주최로 열린 데모데이 행사에서 토크콘서트를 하고 있다. / 연합뉴스




“소나기가 내릴 때 세차를 권하지 않는다. 이 소나기를 먼저 피하라고 권하고 싶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스타트업 창업가들에게 건넨 말이다. 글로벌 긴축 기조로 벤처 시장의 분위기가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스타트업들이 본질적인 부분을 가다듬는 대신 빛이 발할 시기가 올 때를 조금 더 지켜보라는 게 그의 조언이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스파크랩 데모데이’에 참석해 청년 창업가들의 멘토를 자처했다. 평소 스타트업에 관심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최 회장은 이한주 스파크랩 공동대표와 토크콘서트 형식을 통해 창업 생태계와 관련한 여러 의견들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특히 ‘거시적인 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업가들에게 조언을 해달라’는 질문에 최 회장은 우선 기다리라고 답했다. 최 회장은 “투자를 많이 하는 PE(사모펀드)에 물어봐도 지금 아무도 투자하려 하지 않는다”며 “돈이 씨가 마르고 있는 상황에서 돈을 구하려는 건 기업가치를 싸게 내놔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다릴 수 있으면 기다려라”며 “내년 말까지는 기다려야 할 것”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사업 성공 비결과 관련해 “내부에서 인수·합병(M&A) 한 건, 투자 한 건을 하기 위해 백 건 이상의 스터디를 한다”며 “그렇게 스터디를 해도 실패가 많이 나온다”고 전했다. “무조건 성공할 수 있다고 가정하지 말라"는 것이다. 그는 “실력을 키워 나가려고 한다면 많은 걸 스터디 해야 한다”며 “왕도가 있는 건 아니라는 얘기”라고 했다.

최근 기업들 사이에서 필수 과제로 평가 받는 ‘ESG’에 대한 중요성도 여러 차례 강조했다. 최 회장은 “ESG는 사회적 요구를 넘어 시장이 열린다고 생각한다”며 “거대한 시장을 눈여겨보고 내가 만드는 모델이나 투자하는 것들이 ESG에 관련이 있는지 파악할 때”라고 했다.

이와 관련 SK가 과거 투자했던 ‘동남아시아 우버’ 그랩(Grab)의 사례를 꼽았다. 최 회장은 “그랩은 돈을 번다는 것보다 교통 약자에게 어떤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까는 생각에서 시작했다”며 “사회적 문제에서 비지니스를 삼은 것”이라고 했다. 출발점이 다소 달랐던 탓에 많은 대중으로부터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돈을 버는 것은 좋지만 이것만 좇아선 사회로 버림받는다”며 “돈을 많이 벌어서 세금을 내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게 기업의 덕목이던 시대는 지났다”고 강조했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