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상인들 뛰어나와 구조"…줄잇는 '감사인사'

참사 당시 대피 도운 사장·직원들

시민들 "그들이 나의 생명 은인"

부상자 옮겨 CPR 실시한 곳도

일부선 "상인들 책임" 2차 가해

3일 오전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인근 골목의 모습. 연합뉴스3일 오전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가 일어난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인근 골목의 모습. 연합뉴스




핼러윈 데이를 맞아 지난달 29일 오후 10시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을 찾았던 김 모(29) 씨는 인근 주점 주인을 잊지 못한다. 당시 좁은 골목을 가득 메운 인파에 김 씨는 숨이 턱턱 막혔다. 당장 자리를 벗어나고 싶었으나 움직일 틈조차 없었다. 주변에서는 “살려달라”는 괴성이 터져나올 정도였다. 점점 힘이 빠지는 순간 김 씨의 눈에 인근 주점의 문이 열리는 장면이 포착됐다. 주점 주인이 “들어오라”고 손짓했고 결국 김 씨는 악몽 같은 장소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김 씨는 “나에게 주점 주인은 생명의 은인”이라며 “몇몇 상인들이 직접 부상자들을 끌어내고 심폐소생술(CPR)에 참여하는 등 구조 활동에 참여하기도 했다”고 당시를 설명했다.

관련기사



3일 서울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이태원 참사 당시 구조에 나선 인근 상인들에게 감사 인사를 표하는 시민들이 줄을 잇고 있다. 선제적 대처로 다수의 생명을 구한 데 대한 감사 표시다. 이는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글에서도 마찬가지로 당시 현장에 있었던 사람들의 감사 인사가 이어지고 있다.

한 네티즌은 사고 현장 인근에 위치한 한 주점을 언급하며 “생명 살린 사장과 직원들에게 감사 인사를 드린다”며 “애도 기간이 끝나면 꼭 찾아뵙고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다”고 밝혔다. 또 다른 네티즌도 “1만 원가량의 입장료가 있었음에도 상황을 판단해 내부로 피신할 수 있도록 한 클럽도 있었다”며 “내부에서 CPR을 실시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당시 목격자들에 따르면 참사 당시 인근에서 가게를 운영하던 일부 상인들은 적극적으로 피해자 구조에 나섰다. 참사 현장을 목격했다는 성 모(27) 씨는 “일부 상점이 출입을 막기도 했으나 대부분의 상인들은 가게 개방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며 “이태원을 찾았던 지인은 인근 가게에 대피해 상처를 치료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인천 계양구에 거주하는 정 모(30) 씨도 “인근 주점 사장의 도움으로 피신할 수 있었다. 당시 가게들이 도와주지 않았다면 더 많은 사람이 사망했을 것”이라고 당시를 회상했다. 다만 일부 상인들은 당시 구조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나 할 수 있는 일이 없어 무력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가게 문을 열고 구조에 나섰으나 이미 상황이 좋지 않아 제대로 실내로 이끌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태원 참사 현장 인근에서 옷 가게를 운영하는 남 모(80) 씨는 “다리에 멍이 든 두 여성이 맨발로 가게를 들어온 것이 참사의 시작이었다”며 “곧바로 경찰에 신고하고 가게를 개방했지만 인파에 짓눌린 사람들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했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이어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부상자들이 정신을 잃지 않도록 소량의 물을 입에 넣어주는 것밖에 없었다”고 안타까워했다.

반면 당시 구조에 참여하지 않은 가게를 ‘마녀사냥’하는 여론이 일면서 2차 가해를 당하는 상인들도 많다. 이태원동 소재 가게 주인 A 씨는 “구조하지 못한 사람들이 아직도 눈에 어른거리는데 수많은 죽음의 책임을 상인들에게 돌리는 것은 과하지 않느냐”고 토로했다. 또 다른 가게 주인 B 씨도 “코로나19의 악몽에서 벗어나지 못한 시점에 또 다른 비극이 벌어졌다. 폐업도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