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26주 연속 하락…내림폭도 커져

연합뉴스연합뉴스




계속되는 금리인상과 부동산 추가 하락에 대한 우려로 집을 사려는 이들이 더욱 빠르게 사라지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3년 6개월여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다섯째주(10월 3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72.9로 전주(75.4) 대비 2.5포인트나 급락, 72.4를 기록했던 2019년 4월 넷째주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로써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26주 연속 하락했다.

관련기사



서울 아파트에 대한 매수심리는 빠르게 얼어붙고 있다. 올 하반기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전주 대비 0.2~1.1포인트 하락했으나, 이번주는 무려 2.5포인트나 떨어졌기 때문이다. 권역별로는 서남권(영등포·양천·동작구)의 하락 폭이 유독 컸다. 전주 82.6을 기록했던 서남권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이번주 78.4로 무려 4.2포인트나 하락했다. 이로써 서울 내에서 80대를 유지하는 곳은 사라졌다. 도심권(용산·종로·중구)은 전주(70.1)에서 이번주 69.3으로, 동북권(노원·도봉·강북구)은 전주(69.6)에서 이번주 67.3으로 내려앉았다. 같은 기간 서북권(마포·은평·서대문구)도 68.2에서 67.9로,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도 79.4에서 77.4로 하락했다.

전국 기준으로도 이번주 매수 심리는 80.6을 기록하며 전주(82.3) 대비 급락했다. 지난해 12월 첫째주 90선으로 내려앉은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올 8월 셋째주 80선으로 내려앉았다. 하락 폭이 커지는 지금의 추세라면 올해 안에 70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90선에서 80선으로 주저앉는데는 8개월여가 걸렸으나, 80선에서 70선으로 내려앉는데는 불과 2개월여밖에 소요되지 않는 셈이다.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전주(77.9)에서 이번주 (75.2)로 하락했으며, 지방도 전주(86.4)에서 이번주 85.5로 하락했다. 지방에서는 그간 90선을 유지하던 광주가 88.6으로 급락하며 하락 폭이 컸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