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1조서 절반 뚝…시늉 그친 '제2 채안펀드'

대형 증권사 9곳 4500억 출자

A2- 등급 이상 ABCP 매입 추진

연말 만기만 1조…"역부족" 평가

자체보증 ABCP 매입 길도 터줘





대형 증권사 9곳이 중소형 증권사의 부실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4500억 원을 출자한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규모만 1조 900억 원인 것과 비교하면 언 발에 오줌 누기라는 평가가 나온다. 당국은 증권사가 자체 보증한 PF ABCP를 매입하는 길도 터줬는데 시장에서는 유동성이 말라붙은 상황에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4일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금융협회·정책금융기관과 함께 ‘금융시장 점검회의’를 열고 9개 대형 증권사가 4500억 원을 출자해 다음 주부터 PF ABCP 매입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당초 시장에서는 대형사 9곳의 출자 규모를 1조 원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최종 출자액은 절반에 못 미치는 4500억 원으로 결론이 났다. 현재로서는 추가 출자 가능성이 없다. 출자 논의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대형사도 시중에서 기업어음(CP) 발행이 안 되다 보니 유동성이 떨어진다”며 “충분하지 않을 수 있지만 한국증권금융·산업은행이 중소형 증권사 유동성 지원에 나서는 만큼 일정 부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매입 대상은 중소형 증권사가 보증한 A2- 등급 이상 ABCP다. 매입 신청은 다음 주부터 받는다. 그러나 실제 매입 집행은 이달 말이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소형 증권사의 매입 신청 후 심사와 승인 과정이 필요하고 대형사 9곳이 자금을 출자하고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는 데 3주 정도 시간이 필요해서다.

그러나 시장 반응은 회의적이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증권사가 신용 보강한 A2-~A2+ 등급의 PF ABCP 규모는 1조 900억 원에 달한다. 증권사의 한 채권 운용 담당자는 “대형사 9곳의 PF ABCP 매입 소식은 지난달 말 이미 발표됐지만 CP 금리가 도리어 오른 것은 시장 기대치에 미달했다는 증거”라며 “PF ABCP 거래가 활발해질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금융 당국은 증권사가 자체 보증한 PF ABCP를 직접 매입하는 길도 터줬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위 시행령 중 주식과 증권을 매매하거나 중개하는 당사자는 본인이 보증하면 안 된다는 조항이 있다”며 “이 조항이 증권사가 자신이 보증한 PF ABCP를 직접 매입하면 안 된다고 해석돼 증권사들은 헐값에 PF ABCP를 처분하거나 대출을 받아 간접 매입한 결과 부실화율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당국은 유권해석을 명확히 해 증권사가 자체 보증한 ABCP를 매입하도록 했다. 반면 시장에서는 단기자금 시장 경색이 유동성 고갈에서 비롯된 만큼 금리 인상이 지속되는 한 이번 조처가 효과를 보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