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BNK금융 회장 후보군에 외부 인사도 포함

이사회서 내부 승계 원칙 없애

낙하산 인사 가능성에 노조 촉각

BNK금융그룹 본사 전경. 사진 제공=BNK금융그룹BNK금융그룹 본사 전경. 사진 제공=BNK금융그룹





BNK금융지주 이사회가 차기 회장 후보군에 외부 인사도 포함하기로 했다. 자녀 관련 특혜 의혹으로 김지완 BNK금융 회장이 다음 주 사임하며 내부 승계 원칙을 허문 것이다. 낙하산 인사 가능성이 커지면서 지역사회와 노동조합의 반대도 거세지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4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최고경영자 후보자 관련 규정을 수정했다. BNK금융은 2018년 지주 사내이사, 지주 업무집행책임자(지주 사장 이상), 자회사 대표 중에서 내부 승계로 회장을 선임한다는 ‘최고경영자(회장) 경영 승계 규정’을 만들어 적용해왔다. 경영 승계 규정에는 대표이사 회장이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거나 그룹 평판 위험을 악화시킨 경우 외부 인사와 퇴임 임원 등도 회장 후보군에 포함될 수 있다는 내용도 있다. 이 때문에 그간 외부 인사는 제한을 받아왔다. 이번 차기 회장 선임을 앞두고 이 규정을 수정함으로써 외부 인사도 내부 인사와 동등하게 후보로 추천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차기 BNK금융 회장 관련 내부 후보군으로 지주 사내이사 겸 자회사 대표인 안감찬 부산은행장, 이두호 BNK캐피탈 대표를 비롯해 최홍영 경남은행장, 명형국 BNK저축은행 대표, 김영문 BNK시스템 대표, 김성주 BNK신용정보 대표, 김병영 BNK투자증권 대표, 이윤학 BNK자산운용 대표, 김상윤 BNK벤처투자 대표 등이 있다. 금융권에서는 박영빈 건설공제조합 이사장, 손교덕 전 경남은행장, 빈대인 전 부산은행장, 안효준 전 BNK투자증권 대표이사,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등을 외부 후보군으로 손꼽고 있다.

노조와 지역사회는 차기 회장으로 정치권 낙하산 인사가 올 빌미가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4년 전 수립돼 아무 문제 없이, 심지어 지배구조 평가 등급을 연속해서 A+를 득해온 승계 절차를 이제 와서 외부 낙하산을 들이는 방향으로 칼을 대겠다니 제정신인가”라며 비판했다.

김 회장은 2017년 3대 BNK금융 회장에 올라 5년 넘게 BNK금융을 이끌어왔다. 내년 3월 퇴임할 예정이었던 김 회장이 다음 주 사퇴를 결심한 데는 정치권에서 자녀와 관련한 부당 지원 의혹이 제기되면서다. 지난달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김 회장의 아들이 재직 중인 증권사에 BNK금융 계열사들이 채권 발행을 몰아줬다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