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용산서장, 교통혼잡에도 1시간 넘게 차량진입 고집했다

29일 오후 9시 47분 관용차로 이동

오후 10시 55분까지 관용차서 머물러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연합뉴스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연합뉴스




이태원 압사 참사 당시 현장 지휘관이었던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이 사고 당시 교통혼잡 상황임데도 1시간 넘게 관용차에 있었던 것으로 5일 밝혀졌다.

경찰청 특별감찰팀에 따르면 이 전 서장은 지난달 29일 오후 9시 24분쯤 용산경찰서 주변 설렁탕집에서 식사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초 이 전 서장이 음주를 해 늑장대응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지만 술자리가 있었던 것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오후 9시 47분쯤 식사를 마친 이 서장은 관용차량을 이용해 이태원 사고 현장으로 출발했다.



이 서장은 10분 뒤 오후 9시 57분 사고 장소 근처인 녹사평역에 도착했지만 교통정체로 진입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전 서장은 교통체증이 심한 상황에서도 오후 10시쯤 우회도로를 통한 차량 이동을 고집한 것으로 밝혀졌다. 녹사평역에서 이태원역까지 거리는 불과 700여m에 불과하다. 감찰팀에 따르면 이 서장은 녹사평역에서 이태원 현장으로 가기 위해 경리단길, 하얏트 호텔, 보광동 등 여러 우회 도로로 진입을 시도했다. 차량으로 진입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이 서장은 결국 오후 10시 55분에서 11시 1분 사이 근처 앤틱가구거리에서 하차한 뒤 도보로 이동해 이태원 파출소에 도착했다. 이때는 이미 참사가 발생한 오후 10 15분이 훨씬 지난 시점이었다.

관련기사



29일 이태원 참사가 발생 장소 일대에 수많은 인파가 몰려있다./연합뉴스29일 이태원 참사가 발생 장소 일대에 수많은 인파가 몰려있다./연합뉴스


이 서장이 관용차가 아닌 도보로 이동했을 경우 사고 초기 대응이 더 빨랐을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감찰팀은 이 전 서장이 관용차 안에서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감찰팀은 또 이 전 서장이 허위보고를 한 부분도 살펴본다. 참사 당일 용산서 상황일지를 보면 이 전 서장은 10시 20분에 사고 현장에 도착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전 서장은 오후 11시 5분에 도착한 뒤에서 오후 11시 34분에서야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에게 늑장 보고를 시도해 지휘체계 붕괴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