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이재명 "자금시장 경색, 땜질 처방 안돼…정부 '경제 올인'해야"

"늦장 대응이 과거 IMF 국난 야기"

"금융 근간은 신뢰…종합 대책 촉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평화·안보대책위원회 1차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평화·안보대책위원회 1차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살얼음판 같은 자금시장 경색, 땜질 처방으론 안 된다”며 “정부는 부디 ‘경제 올인’ 국정으로 위기 극복에 머리를 맞대달라”고 촉구했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김진태 발 금융위기’에 더해 최근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로 자금시장이 더욱 얼어붙으며 기업들의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나뭇잎 하나만 떨어져도 우르르 무너지는 살얼음판 같은 위기이기에 땜질식 처방으로는 극복할 수 없다”며 “금융의 근간은 신뢰”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 대표는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는 기업 입장에선 합리적 선택이나 5년 지나면 돈을 갚을 것이라는 신뢰가 깨졌다는 점에서 채권 시장 전반에 불똥이 뛸 소지가 다분하다”며 “당장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외화채권 규모가 35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의 대응 방식을 비판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 대표는 “정부 당국의 종합적인 대책을 촉구한다”며 “지금 벌어지고 있는 자금시장 경색은 금리, 물가, 환율 등 여러 경제 상황이 얽혀 발생한 복합위기의 한 단면이다. 당장 ‘흥국생명의 콜옵션 포기’는 금리 인상과 채권금리 상승의 영향이 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둑이 무너질 때마다 하나하나 대응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명백하다”며 “정부는 김진태 발 금융위기로 국내 자금시장이 얼어붙자 외화채권 발행 확대를 추진했으나 흥국생명 건으로 인해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또 “한은은 물가 잡겠다며 금리를 올리는데 정부는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일관성 없는 정책으로는 단기적 대책 그 이상을 넘어설 수 없다”고 했다.

이 대표는 “연쇄 부도 상황을 전제하고, 어디가 어떻게 무너질지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반복적인 위기의 징조와 신호에도 ‘별 일 없을 것’이라던 정부의 안이한 대처와 늦장대응이 과거 IMF 국난을 야기했음을 기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거듭 말씀드리지만 민주당은 민생 회복을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대한의 협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