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부동산회사 달러채 디폴트율 5.8%…위안화채권의 40배

['차이나 늪' 빠진 은행]

■ 부동산發 中 경제 위기 심화

부실 심화에 국내 채무만 갚아

역외채권 투자자 피해 더 커져

EPA연합뉴스EPA연합뉴스




부동산 경기 침체로 부실이 심해진 중국 부동산 회사들이 국내 채무만 갚고 달러 채권은 갚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말 중국 부동산 회사 회사채 등 달러 표시 채권 디폴트(채무 불이행) 비율이 위안화 표시 채권의 40배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발 중국 경제위기도 갈수록 심화하는 분위기다.

6일 블룸버그인텔리전스는 지난달 31일 기준 중국의 달러 표시 역외 채권과 위안화 표시 역내 채권의 최근 12개월간 디폴트율이 각각 5.79%, 0.14%로 역외 채권 투자자들의 피해가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만 해도 달러 표시 채권의 디폴트율은 2.42%였지만 이후 급등하기 시작했다. 올해 6월(5.69%), 7월(6.16%), 8월(6.45%), 9월(6.13%)에 이어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5%를 넘고 있다.

관련기사



반면 위안화 표시 채권의 경우 지난해 12월 0.63%에서 하향 안정세를 이어가 대조를 보였다.

최근 12개월간 디폴트 규모는 달러 표시 채권이 34개 발행사 309억 달러(약 43조 8000억 원), 위안화 표시 채권은 6개 발행사 155억 위안(약 3조 원)으로 10배 이상 차이가 났다. 이는 중국 기업들의 달러화 채무 상환 의지가 약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구진은 “일부 유명 건설사는 달러 채권보다 먼저 중국 국내 채권자들에게 선택적으로 빚을 갚는 모습을 보였다”고 지적했다.

미국 투자회사인 루미스세일즈의 즈웨이펑 수석애널리스트도 최근 중국 부동산 업계의 달러 채권 위기가 심각해져 더는 분석이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블룸버그인텔리전스는 최근 두 달간 달러 표시 채권의 디폴트율이 떨어진 것은 기업들의 신용 여건 개선 덕분이 아니고 남아 있는 채권 발행사 숫자가 적어진 데 따른 기저 효과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이미 중국 부동산 업계의 투자 부적격 등급 회사채 발행사 127곳 중 32곳(25%)이 최근 12개월 새 디폴트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15위 부동산 개발 업체 쉬후이(CIFI)는 지난달 만기인 해외 채무에 대해 채권단과 합의에 이르지 못해 상환을 연기했다. 부동산 개발 업체 녹지그룹도 13일 만기인 3억 6200만 달러(약 5153억 원) 규모의 달러 표시 채권을 상환하지 못할 것으로 예고된 상태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