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韓 경제, 18개월만에 회복세 끝…경기 둔화 지표 증가"

수출부진·소비심리 악화에 자금시장 불안까지

KDI "세계 경제는 이미 둔화 국면 진입"

전문가들 "내년 1%대 성장에 그칠 것"

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부산항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한국 경제의 회복세가 끝났다는 국책연구원의 진단이 나왔다. 지난해 5월부터 완만하게나마 이어진 회복세가 18개월만에 끊어진 것이다. 세계 경제 둔화에 따른 수출 부진에 고물가로 소비 심리마저 약화되며 한국 경제가 둔화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평가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7일 펴낸 ‘11월 경제동향’에서 “세계 경제가 경기 둔화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향후 (한국) 경기가 둔화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지표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KDI는 코로나19 대유행 영향에서 차츰 벗어나던 지난해 5월부터 지난달까지 줄곧 한국 경제가 회복 국면에 있다고 평가해왔다. 그런데 이번에는 ‘경기 회복 기조’라는 판단을 거둬들인 것이다.

관련기사



먼저 수출 성적표가 더욱 나빠졌다. 10월 수출 증가율(전년 동기 대비)은 -5.7%로 2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중국 제외 지역으로의 수출이 감소세로 전환했고(9월 5.9%→10월 -2.2%), 반도체 수출 증가율도 -17.4%로 9월(-5.7%)보다 크게 둔화한 영향이다. KDI는 “주요 수출 품목을 중심으로 제조업의 부진이 심화되며 (경제) 성장세가 약해지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수출 부진을 면치 못하는 것은 세계 경제가 둔화 국면으로 진입한 탓이 크다. KDI는 지난 달 “(세계 경제의) 둔화 우려가 더욱 확대됐다”고 지적했는데, 이달에는 “둔화 국면에 진입했다”고 평가하며 경고음을 한층 키웠다. 실제 세계 제조업 심리를 나타내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9월 49.8, 10월 49.4로 두 달 연속 50 이하로 집계됐다. PMI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세를, 그 이하면 위축 국면을 나타낸다.

성장세를 간신히 견인하던 소비마저 녹록지 않다. 9월 소매판매가 전월 대비 1.8% 감소한 데 이어 소비 심리마저 한풀 꺾인 것이다. 10월 소비자심리지수(기준 100)는 88.8로 9월(91.4)에 비해 하락했다. 5%대 고물가가 지속되고, 금리인상 기조도 이어지고 있는 탓이다. KDI 역시 “향후 소비 회복이 다소 제약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레고랜드 사태 등으로 단기자금시장과 채권 시장에서 신용 불안이 발생하는 등 금융시장의 불확실성도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악재가 잇따르며 내년 한국 경제가 1%대 성장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지는 분위기다. 이날 조동철 KDI 교수는전국경제인연합회가 개최한 2023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에서 “한국은행이 발표한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현재 2.1%이나 전망치를 1%대로 낮출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역시 전날 “(내년) 성장률을 2% 가깝게 유지해줄 만한 부분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세종=곽윤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