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험

[단독]"흥국 쇼크 방치땐 한국물 신뢰 추락"…은행·보험사가 '백기사'로 등판

■'흥국생명 영구채' 예정대로 조기 상환

S&P "한국 보험사 돈맥경화 우려"

13년만의 '조기상환 연기'에 발칵

보험사 RP차입 규제 일시 완화 등

금융당국 '만기일 상환' 대책 총동원

태광그룹 '바이백 자구책' 낼수도


흥국생명의 5억 달러(발행 당시 5571억 원) 규모의 외화 신종자본증권 조기 상환(콜옵션) 연기 쇼크는 예상보다 컸다. 흥국생명 입장에서는 페널티가 부과돼 현재 4.475%인 금리가 연 6.742% 수준으로 높아진다고 해도 12%가 넘는 새 신종자본증권의 금리보다는 유리해 실리를 택했다고 하지만 시장 신뢰에 대한 타격은 예상보다 막대했다. 콜옵션 미행사 이후 은행·보험사들이 발행한 한국물 외화표시채권 가격이 급락하고 거래절벽 수준으로 거래가 위축됐다. 급기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4일 흥국생명의 신종자본증권 콜옵션 미행사로 한국 보험사들의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금융 당국으로서는 레고랜드발 단기자금 시장 경색에 이어 외화채권시장의 신뢰 추락을 두고 볼 수만은 없다는 판단에 환매조건부채권(RP)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로 상환을 맞추는 카드까지 꺼낸 것으로 풀이된다. 주말 동안 금융감독원 직원들은 출근해 야근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흥국생명의 신종자본증권 상환을 위해 4대 시중은행은 4000억 원 규모의 RP를 매입할 계획이다. 나머지 1000억 원은 보험사들이 대출하는 방식으로 참여하며 여기에 흥국생명의 모회사인 태광그룹의 자구 노력도 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RP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은 3일 개최된 생명보험 업계와의 간담회에서 이미 예고됐다. 당시 보험사 관계자들은 RP 등 차입을 통한 유동성 확보가 가능한지 금융위원회에 유권해석을 요청했고 금융위는 ‘후순위채권·신종자본증권 중도 상환을 위한 PR 매도, 차환 등 일시적 차입 금액은 보험업법 시행령 제58조(자산 평가의 방법 등) 제3항에서 정한 발행 한도에 산입되지 않는다’고 밝히면서 시중은행의 RP 매입과 보험사들의 참여가 가능하도록 했다.

관련기사



흥국생명이 외화 신종자본증권 조기 상환 미이행을 결정한 것은 돈이 없기 때문만은 아니었다. 흥국생명의 올 6월 말 기준 자기자본은 1조 9718억 원이다. 재무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RBC)비율에서 지급 여력을 나타내는 가용자본은 이보다 더 많은 2조 7734억 원이다. 조기 상환 금액으로만 보면 가용자본의 25% 수준이다. 여기다 흥국생명의 책임준비금적정성평가(LAT) 잉여액은 6월 말 기준 4조 4481억 원에 달한다. 현금성 자산도 풍부하다. 지원군이 돼줄 대주주도 있다.

결국 흥국생명이 콜옵션을 연기한 가장 큰 이유는 새로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하면 금리가 워낙 높은 만큼 실리를 따진 것으로 풀이된다. 흥국생명은 당초 3억 달러(외화)와 1000억 원(원화)의 신종자본증권을 찍어 이달 9일 만기 콜옵션을 충당하려 했다. 그러나 수요가 거의 없었고 금리 역시 콜옵션 연기에 따른 스텝업 조항보다 높았다.

RBC비율 규제도 콜옵션을 연기한 이유로 꼽힌다. 보험업 감독 규정에 따르면 자본성 증권의 콜옵션은 이를 상환한 뒤에도 RBC비율이 150%를 넘어설 때만 가능하도록 돼 있다. 흥국생명의 6월 말 기준 RBC비율은 157.8%다.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3분기에는 대부분 보험사들의 RBC비율이 더 악화됐다. 자본 확충 없이 콜옵션을 행사해 자본을 태우면 RBC비율이 150%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국내 금융기관의 신종자본증권 조기 상환이 연기된 것은 2009년 우리은행 후순위채 이후 13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던 만큼 흥국생명 콜옵션 연기가 시장에 미치는 타격도 컸다. 국내 은행과 보험사들이 발행한 신종자본증권 가격은 흥국생명의 콜옵션 미상환 발표 이후 연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내년 8월 조기 상환일이 도래하는 신한금융지주 신종자본증권 가격은 이달 4일 기준 1주일 전보다 8.9% 하락했다. 같은 기간 내년 10월 조기 상환일을 맞는 우리은행 신종자본증권 가격은 11.1%, 2025년 9월 만기인 동양생명 신종자본증권 가격은 37.2% 떨어졌다. 한국신용평가는 2일 보고서를 통해 “대부분의 보험사 신종자본증권이 콜옵션 행사를 고려해 발행·유통되고 있는 점을 보면 흥국생명의 이번 콜옵션 미행사는 투자자의 이 회사에 대한 펀더멘털에 대한 신뢰도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이에 흥국생명이 시장 신뢰를 회복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또 “나아가 보험사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시장 일각에서는 흥국생명의 모회사인 태광그룹이 바이백을 실시해 시장 안정화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바이백은 채권 발행자가 시장에서 해당 발행 채권을 사들여 만기 전에 미리 돈을 지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태광그룹이 이달 9일 이전에 자사의 자금을 활용해 해당 채권을 사들여 글로벌 투자가들의 한국 채권에 대한 수요 감소 우려를 해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흥국생명은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지분 56.3%를 보유한 최대주주이고 대한화섬과 티엔알 등 태광그룹 계열사들도 일부 지분을 갖고 있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