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평촌산업단지내에 오는 2025년까지 전기 생산 발전소 건설

대전시, SK가스, LS일렉트, CNCITY에너지 등과 평촌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 협력

대전시는 SK가스, LS일렉트릭, CNCITY에너지, 주민 추진위원회와 오는 2025년까지 평촌산업단지내에 전기 생산 발전소를 건설하기로 하는 투자 및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LS일렉트릭 이상열 이사, SK가스 윤병석 대표이사, 이장우 대전시장, 추진위원회 김충일 위원장, CNCITY에너지 황인규 대표이사. 사진제공=대전시대전시는 SK가스, LS일렉트릭, CNCITY에너지, 주민 추진위원회와 오는 2025년까지 평촌산업단지내에 전기 생산 발전소를 건설하기로 하는 투자 및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LS일렉트릭 이상열 이사, SK가스 윤병석 대표이사, 이장우 대전시장, 추진위원회 김충일 위원장, CNCITY에너지 황인규 대표이사. 사진제공=대전시




오는 2025년까지 평촌산업단지내에 전기 생산 발전소가 건설된다.



대전시는 7일 대전시청에서 SK가스, LS일렉트릭, CNCITY에너지, 주민 추진위원회와 ‘지역상생형 연료전지발전소’ 투자 및 업무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연료전지사업추진위원회 김충일 위원장, SK가스 윤병석 대표이사, LS일렉트릭 이상열 이사, CNCITY에너지 황인규 대표이사는 40MW 규모의 지역상생형 연료전지발전소인 ‘평촌 연료전지발전소’를 건설하기로 하고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SK가스와 LS일렉트릭는 발전소 건설 투자 및 공사를 계획된 일정에 맞추어 추진하고 CNCITY에너지는 도시가스 배관투자 및 가스공급에 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주민추진위는 발전소 건설과정의 원활한 공사를 위해 협조하고 대전시는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신속하게 지원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평촌 연료전지발전소는 약 3500억원을 투입해 서구 평촌산단내 약 1만8000㎡의 면적에 2023년 착공해 2025년 상업 발전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 및 활용 장치도 설치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협약은 국내에서는 보기 드물게 지역주민이 연료전지발전소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이를 통해 지역발전을 이룸과 동시에 도시가스 공급이라는 지역 숙원사업을 해결한다는 점에서 지역상생형 연료전지 발전사업의 모범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료전지 발전은 일반 화력발전에 비해 공해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으며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에 있어서도 약 30% 이상을 감축하는 효과가 있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는 미래 에너지원이다.

이번에 건설하는 평촌산단내 연료전지발전소의 경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발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 및 활용 설비를 설치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시는 이번 연료전지발전소 유치로 2019년 기준 1.9%인 전력자립도를 2025년까지 5.1%로 끌어올려 최하위 전력자립도를 탈피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대규모 투자를 통한 1045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도시가스 미공급지역 조기공급을 통한 기성동 지역 에너지복지를 실현한다는 방침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기업이 지역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이를 통해 주민숙원사업을 이루는 지역상생형 연료전지발전소 구축은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며 “지역주민과 협약 기업은 완벽한 시공을 위해 협력해 주시길 바라며 대전시도 행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