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울산 앞바다에 2발 쐈다"…韓 옆구리로 핵도발 노리나

[2~5일 '대남군사작전' 주장]

"순항미사일 590km 사거리 탄착"

北, 사격 일정·비행거리 등 공개

합참 "사실과 다르다" 반박했지만

"미사일방어체계 보완 필요" 지적

북한군은 7일 한미 연합공중훈련 '비질런트 스톰'에 대응해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나흘 간 대남 군사 작전을 진행했다면서 앞으로도 압도적인 실천적 군사 조치들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북한군이 대응을 했다고 소개한 탄도미사일들. 연합뉴스북한군은 7일 한미 연합공중훈련 '비질런트 스톰'에 대응해 지난 2일부터 5일까지 나흘 간 대남 군사 작전을 진행했다면서 앞으로도 압도적인 실천적 군사 조치들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북한군이 대응을 했다고 소개한 탄도미사일들. 연합뉴스




북한이 자칭 ‘전략순항미사일’을 쏴 울산 앞 공해에 탄착시켰다고 주장하자 우리 군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하며 진실 공방에 나섰다. 북한이 거짓 정보로 대남 선전전을 편 것인지, 아니면 우리 군이 탐지를 못한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다만 북한이 위와 같은 주장을 폈다는 것은 육상이 아닌 해상을 경유해 옆구리 치듯 순항미사일로 핵공격을 할 수 있다는 것이어서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선중앙통신이 7일 보도한 내용을 보면 북한군 총참모부는 한미 연합공중훈련인 ‘비질런트스톰’이 진행 중이던 2~5일 대남 군사작전을 폈다고 밝혔다. 특히 자칭 전략순항미사일 및 전술탄도미사일 등을 발사했다고 주장하며 구체적인 사격 일정과 탄착 지점, 비행 거리 등을 공개했다.

북한 순항미사일이 함경북도 무수단 미사일 기지와 가까운 화대읍 일대에서 발사된 뒤 울산시청 동쪽 80km 공해상으로 곧장 날아왔을 경우를 가정한 비행 궤적. 해당 비행거리는 북측이 7일 주장했던 약 590km의 사거리와 일치했다. /서울경제DB북한 순항미사일이 함경북도 무수단 미사일 기지와 가까운 화대읍 일대에서 발사된 뒤 울산시청 동쪽 80km 공해상으로 곧장 날아왔을 경우를 가정한 비행 궤적. 해당 비행거리는 북측이 7일 주장했던 약 590km의 사거리와 일치했다. /서울경제DB


북측 총참모부는 “모든 대응 군사작전들은 계획된 목적을 성과적으로 달성했으며 우리 군대의 고도의 작전 수행 능력이 만족하게 평가됐다”고 주장했다. 이달 2일 오전·오후에는 동·서해안 연선(접경)의 공군 반항공미사일병부대(방공미사일부대)가 서로 다른 고도와 거리의 공중 목표들을 소멸하기 위한 훈련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당시 발사한 지대공미사일 개수에 대해서는 23발이라고 공개했다.



총참모부는 또한 “적들이 남조선 ‘령해’ 가까이에 우리 미사일이 낙탄됐다고 주장하며 공중대지상유도탄과 활공유도폭탄으로 우리 측 공해상에 대응 사격하는 망동을 부렸다”며 “함경북도 지역에서 590.5㎞ 사거리로 남조선 지역 울산시 앞 80㎞ 부근 수역 공해상에 2발의 전략순항미사일로 보복 타격을 가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북한 측이 주장하는 탄착 지점이나 사거리를 기점으로 역산해보면 북측이 쐈다고 주장하는 순항미사일의 발사 원점은 무수단 미사일 기지와 가까운 화대읍 일대일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우리 합참 관계자는 “현재 우리 군에 포착되거나 탐지된 것은 없다”며 “(북측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또한 “바다는 사방에 막힘이 없다”면서 순항미사일을 레이더로 탐지하기가 육상보다 쉬울 수 있음을 시사했다.

다만 이에 대해 군의 한 관계자는 “북한이 실제로 쐈는데 우리가 놓쳤을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설령 아직 쏘지 않았다고 해도 그런 식으로 도발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한 것이므로 그에 대비한 탐지 체계가 잘돼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지난 10월 12일 자칭 장거리전략순항미사일 시험발사하는 모습.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북한이 지난 10월 12일 자칭 장거리전략순항미사일 시험발사하는 모습.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민간 방산 업계의 한 유도무기 연구자는“북한이 수면 위에 가깝게 날 수 있는 수준으로 순항미사일 기술을 발전시킨다면 레이더로 탐지하기가 매우 까다롭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직 북한의 기술력이 그 정도에 이르렀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최근 미사일 발전 속도가 예상을 크게 웃도는 점으로 볼 때 향후 그와 같은 기술을 확보할 가능성이 있어 방심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총참모부는 3일 시험 발사했다가 정상 비행에 실패했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우리 군에 따르면 해당 ICBM은 당시 2단 분리 단계까지는 성공했으나 최고 속도가 마하 15(음속의 15배)에 그쳐 ICBM의 일반적 기준(마하 20 이상)에 못 미쳤다. 고도 역시 1920㎞ 수준에 그쳐 아직 기술력이 완성되지 않았음을 시사했다.

북한은 4일 실시했다는 훈련 내역도 공개했다. 당일 공군이 총 500대의 각종 전투기들을 동원해 3시간 47분 동안 대규모적인 총전투 출동 작전을 단행했다는 내용이다. 5일 공군기지 타격을 모의해 서해 갑문 앞 무인도를 목표로 산포탄전투부를 장착한 전술탄도미사일 2발 및 초대형방사포탄 2발을 발사했다는 주장도 곁들였다.

총참모부는 한미 군사훈련 등에 대해 묵과할 수 없는 행위라고 평가한 뒤 “적들의 온갖 반공화국 전쟁 연습에 지속적이고 견결하며 압도적인 실천적 군사 조치들로 대응해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일 우리 합참이 포착했다고 밝힌 ‘북측의 군용기 항적 180여 개’를 크게 웃도는 것이다. 군 관계자들은 북한이 주장하는 각종 전투기 500대는 과장된 수치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 당국자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맞서 한미가 결속 하지 못하도록 견제하려는 의도”라고 진단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