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혁신 보행환경 조성하는 부산시…횡단보도 디자인 가이드라인 수립

보행편의 안전성 확보, 시인성 강화, 도시이미지 제고 등 추진

부산시가 혁신적인 횡단보도 디자인 개선 가이드라인을 수립했다. 횡단보도 디자인개선 내용./사진제공=부산시부산시가 혁신적인 횡단보도 디자인 개선 가이드라인을 수립했다. 횡단보도 디자인개선 내용./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는 시민들이 체감하는 혁신적인 보행환경을 조성하고자 세련되고 안전한 횡단보도 디자인 개선 가이드라인을 수립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가이드라인에는 횡단보도 내 스몸비족(스마트폰을 보며 길을 걷는 사람) 등 보행자 신호위반 예방, 도로 시인성 강화, 노년층 취약 시간대 교통사고 예방을 포함한 안전한 보행권 확보 내용이 담겼다.



보행자 무단횡단 방지 및 안전을 위해서는 적색등·녹색등 모두 전체 잔류시간이 표시되는 신호등 설치, 눈에 확 띄는 보도 판석 포장, 보도 경계석 폭 확대(20cm→40cm), 운전자로부터 보행자 인지를 위한 보행자 집중조명 설치 등을 추진한다.

관련기사



운전자의 시인성 제고를 위해선 횡단보도 전 20m가량을 차량 속도 저감 및 횡단보도 인지를 위한 미끄럼방지포장과 지그재그 차선도색, 정지선 위반 안내(AI카메라), CCTV, 횡단보도 음성안내 등 스마트 장비를 확대 설치하며 세련된 도시이미지를 위해 도시미관을 저해하는 무분별한 각종 지주를 없애고 통합지주에 표지판 등을 이전 설치하고 LED가로등, 바닥 신호등을 함께 설치할 계획이다.

올해는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도로 중심으로 중구 남포사거리(BIFF거리 ~ 자갈치시장), 동구 부산역 앞 일원, 해운대 영화의 전당 교차로 일원 등 8곳 22개소에 대해 횡단보도 디자인 개선사업을 우선 시행한다.

시 관계자는 “이번 가이드라인을 통해 올해는 시민 왕래가 가장 잦은 주 간선도로 중심으로 시범운행하고 내년부터 전역에 확대해 남녀노소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부산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3년간 횡단보도 보행자 교통사고 현황에 따르면 무신호 횡단보도 사고 건수(46.0%) 및 사망자 수(13.2%)에 비해 많은 시민이 이용하는 신호 횡단보도 사고 건수(54.0%) 및 사망자 수(86.8%)가 오히려 더 높다.

또한 횡단보도 사망자 사고의 경우 운전자의 신호위반에 따른 사망사고(21.2%)에 비해 보행자의 신호위반으로 인한 사망사고(66.7%)가 월등히 높으며 사고 연령은 65세 이상이 가장 많고 시간은 오전 4~6시, 오후 8~10시에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