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특수본, ‘불법증축’ 이태원 해밀톤호텔 대표 주거지 등 3곳 압수수색

경찰이 이태원 세계음식문화거리에 증축된 해밀톤호텔 주점 테라스 앞쪽에서 경비를 서고 있다. 연합뉴스경찰이 이태원 세계음식문화거리에 증축된 해밀톤호텔 주점 테라스 앞쪽에서 경비를 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사고 당시 ‘불법 증축’으로 피해를 키웠다는 의혹을 받는 해밀톤호텔 등 3곳을 9일 압수 수색했다.

관련기사



특수본은 이날 오전 해밀톤호텔과 대표이사 A 씨 및 참고인 주거지 등 3곳에 대한 강제수사를 통해 호텔 운영과 인허가 관련 자료 등을 확보했다. A 씨는 불법 구조물을 세우고 도로를 허가 없이 점용한 혐의(건축법·도로법 위반)로 입건됐다.

특수본은 압수물과 현장 감식을 토대로 해밀톤호텔 불법 증축 건축물과 사고의 인과관계를 따져볼 것으로 전망된다. 해밀톤호텔 본관 서쪽에 불법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 가림 철제 가벽은 참사가 발생한 골목길 폭을 더 좁혀 인파 ‘병목현상’을 가중시켰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A 씨는 용산구청의 불법 구조물 철거 통보에도 2014년 이후 5억 원이 넘는 이행강제금만 낸 채 시설물을 방치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밀톤호텔에 대한 수사는 자연스럽게 용산구청과 연계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특수본은 호텔 측과 구청 간 유착 의혹도 참사와 관련성 있을 경우 수사할 방침이다.

특수본은 불법 증축 등 참사의 구조적인 문제들을 살펴보는 것과 함께 당국의 대응이 적절했는지도 따져보고 있다. 윤희근 경찰청장과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등 지휘부의 피의자 입건 가능성에 대해 김동욱 특수본 대변인은 “현재 참고인 신분이고,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수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규모 압수 수색이 속속 이뤄지면서 특수본의 칼끝이 행정안전부와 대통령실 등 더 ‘윗선’으로 향할지도 관심사다. 이에 대해서도 “부실한 조치가 있었다면 어떤 기관이라도 수사 대상이 될 수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박우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