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2030년 '수소 강국' 도약…제조 기술 완전 국산화 추진

◆정부 수소경제위원회 개최

상용차 3만대·충전소 70곳 보급

2036년 수소 발전비중 7.1% 목표

기업 육성·수출상품화 적극 지원


정부가 2030년 세계 1위 ‘수소산업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 수소상용차와 액화수소충전소 등 관련 인프라 확충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또 현재 선진국 대비 75%에 머물러 있는 7대 전략 분야의 기술 수준도 8년 내 세계 선두권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이를 토대로 청정수소 발전 비중도 현재 0%에서 2036년 7.1%로 대폭 높여나갈 계획이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주요 부처는 서울 롯데호텔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새 정부 수소경제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정부가 밝힌 이번 정책방향은 3대 성장 전략으로 ‘규모·범위의 성장’ ‘인프라·제도의 성장’ ‘산업·기술의 성장’을 제시했다. 그간 정부의 수소 정책은 수소승용차, 발전용 연료전지 등 일부 활용 분야로 국한돼 산업 경쟁력이 선진국과 최대 7년의 격차가 있었던 게 사실이다. 또 화석연료 기반의 ‘그레이수소(액화천연가스를 개질한 추출수소)’ 생태계로 이뤄지다 보니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관련기사



이에 정부는 발전·수송 분야에서 대규모 수소 수요를 창출하고 글로벌 수소 공급망을 구축해 청정수소 생태계로 확장한다. 특히 생산 유통 전주기 핵심 기술을 확보해 수전해·액화수소운송선·트레일러·충전소·모빌리티연료전지·발전용연료전지·수소터빈 등 7대 전략 분야를 집중 지원하고 기술력 있는 수소기업 600개를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수소모빌리티·발전용연료전지·수전해시스템·액화수소운송선·수소충전소 등 5대 유망 분야는 수출 상품화를 적극 지원해 해외시장을 선점하기로 했다.

우선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 3만대, 액화수소충전소 70곳을 보급하고 2036년까지 청정수소 발전 비중을 7.1%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이를 토대로 2030년까지 47조 1000억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9만 8000명의 고용을 창출하고 온실가스 2800만 톤을 감축할 계획이다. 또 내년도 수소버스·트럭의 구매보조금을 지금보다 6000만 원 늘려 시내버스 2억 1000만 원, 광역버스 2억 6000만 원을 지원하고 경찰버스의 수소버스 전환, 지자체의 수소버스·충전소 구축 지원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2027년까지 수소·암모니아 혼소 발전의 실증을 완료하고 2028년부터 단계적으로 혼소 발전을 확산한다. 세계 최대 수준인 연 4만 톤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도 선제적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청정수소 시장 촉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한다. 2023년까지 청정수소의 기준과 인증제 운영 방안을 마련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한국형 청정수소 인증제를 2024년까지 도입한다. 재생에너지로 물을 쪼개 만든 그린수소 분야에서는 고효율·대량생산 기술력을 확보하고 내년 생산 기지 2개소를 시범 구축한다. 수소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포집해 만들어내는 블루수소는 대규모 생산 기지 구축과 이산화탄소 해외 이송을 지원할 방침이다. 아울러 원전을 통해 만든 전기로 물을 쪼개 수소를 만드는 핑크수소 생산 기반 확충을 위해 한국수력원자력에서 기반 연구를 진행하며 안전성·인허가 필요사항 등을 검토한 뒤 2024년부터 가동 중인 원전과 연계한 실증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