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민 70% “디지털 트윈 기술 행정서비스 분야 도입해야”

경기연구원, 도민 1000명 대상 '디지털 트윈에 대한 이해' 등 분석





경기도 현실 세계를 디지털의 가상 세계에 동일하게 복제해 구현하는 기술로 디지털 트윈 도입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행정업무의 효율화와 지역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정책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9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경기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에 대한 이해, 업무적용 가능성, 행정서비스 수요 등의 분석 결과를 담은 ‘디지털 트윈으로 꿈꾸는 스마트한 도시생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경기도 도민의 69.9%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행정서비스 분야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며, 71.2%가 문제상황에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는 점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와 함께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수준은 66.2%가 문제상황에 대한 빠른 대응을 위해 분석 및 예측을 통한 시뮬레이션 수준으로 고도화된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원은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의견 수렴이 필요하며, 디지털 트윈 행정수요와 효과성이 높은 서비스 중심으로 우선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전략으로 △필요성, 효과성, 정책 연계성을 고려한 서비스 발굴 △수요와 효과성 높은 서비스 중심으로 사업 추진 △시범사업 참여를 통한 표준모델 구축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한 지원 체계 구성 △사업 추진 및 운영과 관련 법제도 마련 등을 위한 전담부서 필요성을 제안했다.

옥진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의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실현을 위해서는 시범사업 참여를 통한 행정서비스 모델 구현 방안이 검토돼야 하며,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구축 및 활용을 위한 법·제도 근거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