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가나초코우유' 살았다…푸르밀, 사업종료 철회

30% 감원하고 영업 정상화





갑작스럽게 전 직원 정리해고를 통보해 논란이 됐던 유제품 기업 푸르밀이 사업종료를 철회한다고 10일 공식 발표했다. 지난달 17일 사업종료와 정리해고 계획을 발표한 지 24일 만이다. 푸르밀은 현 임직원수의 30%를 줄인 뒤 사업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푸르밀은 이날 신동환 대표이사와 푸르밀 임직원 일동, 푸르밀 노동조합원 일동 명의로 호소문을 발표하고 사업 종료를 철회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푸르밀은 호소문에서 “지난 2018년부터 현재까지 지속된 누적 적자로 ‘경영 위기’를 넘어 회사의 ‘존폐’를 고민할 만큼의 상황에까지 이르렀고 그 동안 노력해온 직원들에게 11월 30일까지만 사업을 영위할 것임을 발표했다”며 “이후 많은 분들이 사업종료만은 막고 어려움을 최소화 해달라는 요청을 한 마음으로 해 주셨다. 이에 회사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비상경영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노동조합의 뼈를 깎는 희생과 도움으로 구조조정 합의에 이르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여기에 자금지원의 용단을 내려 주신 주주분들의 지원으로 회사를 정상화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됐다”며 “이에 회사는 기존에 발표한 11월 30일부 사업종료를 전격 철회하고, 슬림화된 구조하에 갖추어진 효율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영업을 정상화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지난달 17일 푸르밀 경영진은 이달 30일 자로 사업을 종료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정리 해고를 통지하면서 직원들과 갈등을 빚어왔다. 직원들은 사측이 무능·무책임 경영으로 일관했다며 비난했고 푸르밀 대리점주와 회사에 원유를 공급해 온 농가들도 생계가 막막해졌다며 상경 집회를 벌이는 등 반발해왔다.

이후 신동환 대표와 푸르밀 노조는 지난달 24일과 31일, 이달 4일 만나 협의를 진행했다. 이달 8일 4차 교섭 격으로 푸르밀 실무진이 노조와 만났고, 인원을 30%를 감축하는 대신 사업을 유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푸르밀은 “회사는 45년 전 창업 초심으로 돌아가 재도전하고자 하오니 회사에 대한 미움을 거두어 주시고 지속적인 관심과 애정 어린 시선으로 바라봐 주시면 감사하겠다”며 “좋은 제품으로 보답하겠다. 저희 제품을 사랑해 달라. 무릎 꿇어 간절히 호소 드린다”고 밝혔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